이승만의 업적 중에서 경제사적으로 평가 받아야할 정책이 있다. 바로 농지개혁이다.
그것도 혁명적인 방법이 아닌 지주출신 정치세력의 반발을 다독거리며 국회를 통한 민주적 절차의 소산물이었다.
그 때까지만 해도 한국은 ‘양반과 상놈의 의식’과 더불어 ‘지주와 소작인 제도’가 있었다. 당시 국민의 71%가 농민이었는데 자기 땅을 가지고 있는 자작농은 14%에 불과했다. 나머지 57%는 지주의 땅을 빌려 경작하는 소작농이었다. 소작농조차 할 수 없는 머슴들도 많았다. 국민의 반 이상이 농노나 다름없는 묶인 몸의 신세였다.
이승만은 전근대적인 양반과 상놈의 구분, 지주와 소작인으로 질기게 이어져 온 지배구조를 무너뜨리는 것이 급선무라고 생각했다. 그것이 공산주의를 이기는 길이라 생각했다. 그는 농토를 농민들에게 돌려줘야 한다는 구상을 실천에 옮겼다. 이것이 6·25 직전에 단행한 농지개혁이다.
이승만의 농지개혁을 칭송한 사람은 놀랍게도 노무현 전 대통령이다. “남미 여러 나라를 순방하면서 왜 한국이 성공했을까 하는 생각을 많이 했다. 옛날 지도자들이 실책을 더러 했었지만 그래도 한 가지씩은 다 했다. 자유당 시대를 독재시대, 식민지 시대에서 해방은 됐지만 암흑시대로 생각했었다. 그런데 그때 토지개혁을 했는데, 지나고 보니 정말 획기적인 정책이고 역사를 바꾼 사건이 아니었나 생각한다. 그것을 해서 한국전쟁이 터졌는데도 국가독립, 안정을 지켜냈고, 국민이 하나로 뭉쳐서 체제를 지켜냈다.”(출처; 대통령의 경제학, 이장규, 기파랑)
2003년 한국기자가 룰라 브라질 대통령에게 "브라질처럼 풍부한 자원을 가진 나라에 어째서 5000만 명이 넘는 절대빈곤층이 존재하는 겁니까?"라고 묻자, 룰라 대통령은 이렇게 대답했다. "한국은 과거 50년대에 농지개혁을 했지만 브라질은 그러지 못했고, 아직도 그것이 풀어야 할 숙제입니다. 브라질의 경제는 사회개혁 없이 심각한 불균형성장을 해왔던 것이 문제지요."
만약 농지개혁이 미루어져 6·25 때 남한을 점령한 북한군이 지주의 농토를 빼앗아 소작농에게 나눠주었다면 이들은 농토를 빼앗기지 않으려고 북한군 편에 서서 싸웠을 것이다. 중국의 모택동이 장개석한테 이긴 이유이다. 6.25 이전에 단행한 이승만의 농지개혁은 민주주의의 토대를 놓았을 뿐 아니라 민주한국을 지켜냈다.
정부는 농지를 수용하면서 지주들에게는 지가증권을 발급했다. 지주에게 보상한 20억 원의 대략 절반가량이 지주의 손을 떠나 산업자본으로 전환되었다. 이로써 지가증권이 산업자본으로 전환되어 농업사회를 산업사회로 전환시킨 한국자본주의의 시발점이 되었다. 20세기 식민지체제를 경험한 신생국가가 농지개혁을 거쳐 산업화와 민주화를 동시에 성공한 경우는 세계사적으로도 대한민국이 유일하지 않을까 싶다.
농업경제학자인 김성호 전 한국농촌경제연구원 고문은 "이승만의 농지 개혁이 한국의 번영을, 북한의 소련식 토지국유화가 오늘의 북한 참상을 불렀다"고 단언했다.
[출처] 적화통일을 막아낸 이승만의 농지개혁 - 홍익희 교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