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tudy 1 페이지

본문 바로가기

Study

Study 1 페이지 목록

  1. 1.이승만의 가족

    내용
    이화장 비장 사료(史料)-.건국 대통령 우남(雩南) 이승만(李承晩)은 영문 훈령에서 사진.편지까지 일체의 자료를 소중히 간직했다.임정(臨政).독립운동.건국비사에 이르기까지 수많은 기록과 문헌이 담긴 이화장 사료를 本社는 2년전부터 전문연구팀을구성해 사료검증 작업을 벌이고 있다.이중 먼저 우남의 비장앨범을 통해 건국까지의 이승만 일대기를 살펴본다.

     [편집자 註] 대한민국의 건국대통령 우남 이승만박사.그의 생애와 업적에 대해 시비와 포폄(褒貶)의 평가가 엇갈리고 있다.
    그러나 한가지 분명한 것은 그는 역사에 보기드문 출중한 인재였으며 우리민족이 배출한 최초의 세계적 정치가였다는 사실이다. 광복 50주년을 맞아 이화장에 비장된 그의 사진과 문적을 통해 파란만장했던 그의 일생과 독립운동의 행적을 추적해 보자.

    우선 李박사의 가족상황을 훑어보기로 하자.李박사는 1875년황해도 평산에서 방랑벽이 심했던 유교적 선비 이경선(李敬善.1837~1912)공과 서당 훈장의 따님 어머니 김해 金씨의 외아들로 태어났다.李박사는 양녕대군(세종대왕의 형 님)의 16대손이었다.집안의 6대독자였기에 태어나면서부터 주위 친족으로부터금지옥엽 처럼 애지중지되었다.
    그에게는 두분의 누님이 계셨는데 모두 고향의 우씨와 심씨댁으로 출가했다. 호젓했던 李박사의 가족이 서울로 이사한 것은 李박사가 세살때였던 1877년.
    李박사 가족은 서울 남대문밖 염동과 낙동,그리고 도동을 전전하면서 살았고,어린 李박사는 서당공부에 몰두했다.15세때(1890년)그는 부모가 간택한 이웃의 동갑내기 朴씨와 혼인해 1899년에 태산(泰山.봉수)을 낳았다.

    박씨 부인은 李박사가 독립협회 일로 옥살이를 했을 때와 미국유학기간에 시아버지를 모셨던 조강지처였다.그러나 성격차이 등의이유로 李박사가 미국유학을 끝내고 금의환향한 다음 1912년「합의이혼」했고,그후 6.25전쟁 발발 직후 인천 에서 피랍.희생된 것으로 알려져있다.李박사의 유일한 혈육인 태산은 李박사가도미(渡美)한 다음 李박사의 옥중 친구 박용만(朴容萬)이 미국으로 데려갔는데 불행히도 필라델피아에서 디프테리아에 걸려 사망했다.
    1896년까지 생존했던 李박사 어머니(김해 金씨)는 황해도 평산의 서당훈장 따님으로 남달리 아들의 교육에 열성이었다.李박사가 후에 출중한 학자.정치가로 대성할 수 있었던 것은 삯바느질로 집안의 생계를 이으며 그의 교육을 독려했던 어머니의공이었다.
    李박사는 오랜 독신생활끝에 1934년 오스트리아 태생프란체스카 도너양과 미국 뉴욕에서 재혼했다.그 당시 李박사의 나이는 59세,그리고 프란체스카 여 사는 35세.성은 아버지로부터,이름은 어머니로부터 받아 프란체스카 도너가 되었다. 철강상인이었던 李박사의 장인 루돌프 도너는 1922년 사망했음을 확인할 수 있다.
    李박사는 조선왕조의 국족(왕족)으로 태어났기 때문에 어려서부터 높은 엘리트의식을 가졌다.게다가 집안의 6대독자였기 때문에 온가족의 사랑을 독차지하면서 자랐다.이러한 가정배경은 그로 하여금 유아독존적 성격을 갖게 만들었다고 볼 수 있다.李박사의 부친은 왕족이지만 관직이 없어 천하주유로 소일하는 가난한 선비였다.그러므로 그는 아들의 출세에 결정적 도움을 주지 못했다.李박사의 부모가 그에게 넘겨준 최대의 자산은 남달리 영민한 그의 두뇌와 튼튼한 체력이었다.청년 이승만은 이 두가지 자산을 가지고 학문과 정치의 세계에 도전해 그의 먼 조상 이성계(李成桂.태조)가 도달한 것과 같은 높이의 정치적 고지를 점령했던 것이다.한마디로 그는 외로이 혼자힘으로 자기 앞길을 개척한 자수성가(自手成家)형 인 걸이었다.



    [출처: 중앙일보] <이승만과대한민국탄생>1.이승만의 가족


  2. 2.이승만과 新舊학문

    내용
    李박사는 동서양의 학문을 겸비한 학자-논객이었다.

    그는『독립정신』(1910)이라는 한글 책을 펴낸데 이어『미국의 영향을 받은(국제법상)중립』(Neutrality as Influencedby the US1912)과『일본내막기』(Japa n Inside Out1941)라는 두저서를 영어로 출판했다. 뿐만아니라 그는 서울에서 매일신문(1898)을, 그리고 하와이에서 태평양잡지(1914)를 창간해 편집인-주필로서 논봉을 휘둘렀다. 이외에그는 1백20여편의 한시(漢詩)와 많 은 한문휘호를 남겼다. 이같은 그의 학술. 언론인으로서의 실적은 동시대의 다른 세계적 정치가들의 업적을 웃도는 것이었다. 어떻게 이것이 가능했는가.

    李박사는 19세때(1894)까지 여느 양반집 자제와 마찬가지로 과거(科擧)등과를 목표로 서당공부를 했다. 6세때 천자문을 완전히 외운 그는 줄곧 서울의 낙동과 도동에 있는 서당을 다녔다. 李박사는 어릴때 낭만이 깃들여 있는 이서당을 잊지못해 1957년에 이곳을 방문하고 친히「연소정」(巢亭)…제비가 둥지트는「정자」라는 이름을 지어 휘호하였다.

    서당시절에 그는 유교의 사서오경(四書五經)을 익히고 문장술을 닦는데 주력했다. 서당에서 치르는 시험(도강)에서 항상 장원을 했던 그는 13세때부터 나이를 속여 매년 과거에 응시했으나 연거푸 낙방의 고배를 마셨다. 17세때부터 한시를 짓기 시작한 그는 당음(唐音)을 즐겨 읊었으며, 국사(國史)에도 남다른 관심을기울였는데, 그가 역사적 인물중에 사숙한 위인은 성삼문(成三問)이었다. 서당에서 동양적 세계관과 충군애국사상을 체질화했던 그는 1894년 청일전쟁을 계기로 서양의 신학문에 눈을 돌리게 되었다. 전쟁초반에 실시된 갑오경장의 일환으로 과거제도가 폐지됨으로써 전통적 교육이 쓸모없게 된데다 청일전쟁에서 일본이 노(老)대국 청국을 제압한 것이 정치적으로 얼마나 중요한 지각변동인가를 재빨리 감지했기 때문이었다. 결국 그는 1895년 2월에 신긍우(申肯雨.申興雨의 형님)의 권유와 인도로 서울 정동에 있는 미국인 선교학교 배재학당(培材學堂)에 입학했던 것이다.

    배재학당은 청년 이승만으로 하여금 본격적으로 서양문명에 눈뜨게하는 별천지였다. 한국인.서양인.일본인.청국인이 두루 섞여 배우는 국제적 분위기의 학교였다. 이 학교의 가장 큰 자랑거리는 아마도 그 뛰어난 교사진이었을 것이다. 이 학교 교장(당장) 앨리스 아펜젤러(H G Appenzeller)의 경우를 보면, 그는 미국의 명문대학과 신학교를 졸업하고 목사안수를 받아 한국을 찾아온 이상주의적 선교사였다.
    이승만에게 영어를 처음 가르친 노블(W A Noble) 의사라든가 벙커(D A Bunker). 헐버트(H B Hulbert)등 미국인 교사 모두 아펜젤러 못지않은 고학력과 사명감을 갖춘 인물들이었다. 이들 외에 당시 배재학당에는 한국인 으로서는 최초로 미국의 정규 고등학교및 대학교육을 마치고 의사가 되어 미국시민으로 귀화한 서재필(徐載弼:Philip Jaisohn)이 강사로 초빙되어 세계역사. 지리에 대한 특강을 베풀었다. 한마디로1895년께 배재학당의 교사진은 요즈음의 한국 일류대학의 인문학과 교수진에 비해 손색없었다.

    ***기독교 선교학교인 배재학당에서 이승만은 기독교 예배에참석했고 또 단발(斷髮)을 결행했다. 그러나 그가 배재학당에 들어온 주목적은 영어를 배우는 것이었다.

    ***반년만에 英語강사 입학후 곧 동료간에 두각을 나타낸 그는 얼마 안있어 제중원(濟衆院)이라는 신식병원의 미국인 여의사화이팅(Georgiana E Whiting)의 한국어 교사로 뽑혀 20달러의 월급을 받으면 그녀에게 한국어를 가르치고 대신 그녀로부터 영어를 배우는 행운을 누렸다.
    이승만의 영어실력이 얼마나 빨리 늘었던지 그는 입학후 반년만에 배재학당 영어반의 강사로 임명되어 주위로부터 천재라는 평을받았다.그가 2년반만에 배재학당을 졸업할때(1898년7월) 그는졸업식장의 6백여 내외귀빈 앞에서「한국의 독립 」이라는 주제로 영어연설을 하는 영예를 누렸다.

    그런 배재학당이 그에게 가르쳐 준 가장 소중한 것은 영어가 아니라 새로운, 혁명적 정치사상이었다. 비록 재학기간에 기독교에 귀의하지는 않았지만 그는 기독교 교사들의 훈도를 받으면서 자유. 평등. 민권등 근대적 정치이념과 미국식 민주주의 제도를 깊이 터득했던 것이다. 특히 그는 서재필의 영향하에 서재필이 창립한 독립협회 일에 적극 참여하면서 (배재)협성회(協成會)라는 토론회를 조직하고 또「협성회회보」를 창간해 그 주필로서 논설을 썼다. 바꾸어 말하자면 배재학당은 일개 시인(詩人)-한학자(漢學者)관료로 인생을 끝막음했을 뻔한 유생(儒生) - 이승만을 서구지향의 근대적 개혁가. 혁명아로 개조시켜 놓은 용광로였던 것이다.



    [출처: 중앙일보] <이승만과대한민국탄생>2.이승만과 新舊학문


  3. 3.이승만의 獄中활약

    내용
    이승만(李承晩)박사는 카리스마를 풍기는 정치지도자였다.

    그의 카리스마는 오랜기간에 걸친 기독교 신앙생활과 유관했다. 그는 미국 유학때 정치학에 곁들여 신학(神學)공부를 했으며, 귀국후 한동안 서울 YMCA의 학감(學監)직을 맡은 바 있고, 30여년에 걸친 하와이 거주기간 호놀룰루에 한인기독학원과 한인기독교회를 창립, 해방때까지 교장 및 교역자역을 담당했었다. 이렇듯 그의생애는 종교와 정치가 표리일체를 이루고 있었는바, 그의 기독교 신앙은 20대후반 영어(囹圄)상태에서 싹트고 자라났던 것이다.

    청년 이승만은 1899년 1월9일 대한제국(大韓帝國)정부에 의해 체포,구금되어 1904년 8월9일까지 5년7개월간 서소문(현재 中央日報社 서편)에 있는 한성감옥서(漢城監獄署)에서 옥살이를 했다. 그가 투옥된 이유는 매일신문.제국신문 등 자신이 창간한 신문의 논설을 통해 고종(高宗)황제의 수구정권을 신랄히 비판했을 뿐 아니라 독립협회(獨立協會). 만민공동회(萬民共同會)의 총대(總代)로서 극렬한 반정부시위를 조직. 선동했으며, 나아가중추원(中樞院)의관(議官,1898. 11.19~1899.1.1)으로서 일본에 망명중인 급진개혁가 박영효(朴泳孝)를 서울로 불러들여 새로운 혁신내각을 수립하려는 쿠데타 음모를 꾸몄기 때문이었다.

    말하자면 그는 고종황제의 노여움을 산 정치범이었다. 그러나 정작 1899년 7 월11일 재판정에서 내려진 그의 죄목은「탈옥미수」(脫獄未遂)였고 형량은 종신형(終身刑)이었다(얼마후 특사로 10년형으로 감형). 왜냐하면 그는 처음 수감되었을 때감방의 두 동지와 함께 탈옥을 기도했다가 실패한 사실이 있었기때문이다.

    이승만의 기독교로의 개종(改宗)은 경무청 감방에서 목에 무거운(10㎏) 형틀을 쓰고 사형선고를 기다리던 극한 상황에서 이루어졌다. 어느날 그는「네가 너의 죄를 회개하면 하느님께서는 지금이라도 너를 용서하실 것이다」라는 배재학당 시절 예배에서 들었던 말이 생각났다. 그순간 그는 목에 걸려있는 나무칼에 머리를 숙이고「오 하느님! 내 영혼과 내 나라를 구해주옵소서」라는 간절한 기도를 드렸다. 이 짤막한 기도야말로 원래 유가(儒家)에서 태어났고 독실한 불교신자인 어머니의 강한 영향하에 자라났던 이승만의 오랫동안 미루어왔던「천주학」에의 귀의(歸依)를 의미했다. 이렇게 종교적 중생을 맛본 순간부터 그는 모진 고문과 열악한 조건에서도 형언할 수 없는 안위와 평안, 그리고 희열을 느끼게 되었다. 후일 그는 자서 전에서「나는 6년여 동안의 감옥살이에서 얻은 축복에 대해 영원히 감사한다」고 고백했다.

    일단 기독교로 개종한 이승만에게는 예상치 못했던 활력이 솟아났다. 결과적으로 그는 감옥에서 눈부신 전도. 교육. 저술활동을 펼칠 수 있었다. 제일 먼저 그는 미국 선교사가 차입해 준 신약성경을 가지고 동료 죄수들과 함께 성경(聖經)공부를 했다. 가끔 선교사 언더우드(H G Underwood)가 심방해 그들의 공부를 도와주었다. 이 성경반을 통해 이승만은 감옥에서 -한국 개신교 역사상 처음으로- 40여명의 양반출신 개혁파 지식인을 기독교로 개종시키는데 성공했다. 그리고 그는 이러한 자신의 신앙체험담과 새로 터득한 사상을『신학월보』에 기고했다.

    그후 그는 감옥서장(監獄署長)을 설득해 옥중학교(獄中學校)를개설했다. 이 학교에서 그는 유식한 동료죄수들과 함께 글을 모르는 죄수들과 옥리들에게 한국역사. 한문. 영어. 산학. 지리등을 가르치면서 성경과 찬송가도 아울러 배우게 했다. 그는 그가 읽은 한적(漢籍)중『중동전기본말』(中東戰紀本末)을 골라 한글로 번역, 나중(1917)에 하와이에서『청일전기』(淸日戰紀)라는 제목으로출판했다.

    옥중에서 이승만이 펼친 사업중 가장 야심적인 것은 영한사전(英韓辭典)의 편찬작업이었다. 미국선교사들은 이승만에게「뉴욕 아웃룩」(New York Outlook)등 영문잡지와 영어대사전. 화영사전(和英辭典:일본어-영어사전)등의 사전을 차입해 주었다. 이 자료들을 철저히 독파하면서 영어실력을 높이던 끝에 그는 드디어 영한사전 만드는 작업에 착수했다. 출옥할 무렵 이 사전 만드는 작업은 전작업량의 3분의1(A~F항)정도가 끝나 있었다. 만약 이 작업이 계획대로 끝났더라면 이 사전은 한국 영어교육사상 빛나는 금자탑으로 남았을 것이다.

    이승만이 영한사전 편찬작업을 끝맺지 못한 이유중 하나는 작업도중 러일전쟁이 터졌기 때문이다. 전쟁발발 소식을 들은 그는 곧 사전편찬 일을 중단하고『독립정신』이라는 책을 저술하기 시작했다. 그는 이 책의 원고를 6개월만에 탈고했는데, 그가 이처럼 빨리 대저(大著)를 탈고할 수 있었던 것은 이 책 내용의 일부를 제국신문에 이미 발표한 그의 논설로 채웠기 때문이다. 그는 한가한 날에는 시를 짓는 것으로 소일했다. 그의 옥중 한시(漢詩)들을 모은 것이 바로 체역집(替役集: 징역을 대신하는 시모음)이다.



    [출처: 중앙일보] <이승만과대한민국탄생>3.이승만의 獄中활약


  4. 4.이승만의 초창기 외교

    내용
    이승만(李承晩)박사는 해외 독립운동 기간 중 항상 각국 원수, 특히 미국 대통령과 직접 담판하는 스타일의「정상급」외교를 펼쳤다.

    윌슨(W Wilson). 프랭클린 루스벨트(F D Roosevelt). 트루먼(H Truman)대통령 등이 그의 교섭 상대였다. 이승만의 이러한 고차원 외교는 그가 1905년 약관 30세로 하와이 한인교포의 대표로서 미국 대통령 시어도어 루스벨트(Theodore Roosevelt)와 회견했을 때부터 시작된다.

    이승만은 한성감옥에서 풀려난지 3개월만인 1904년11월4일 미국으로 가게 되었다. 이 무렵 대한제국(大韓帝國)은 러일전쟁에 휘말려 그 운명이 풍전등화(風前燈火)와 같았다. 일본의 침략적 본성이 노골화되는 시점에서 고종(高宗)황제의 개혁파 총신 민영환(閔泳煥)과 한규설(韓圭卨)이「영어 잘하는」이승만을 미국에 밀파(密派)하여 앞으로 열릴 러일전쟁 강화회의에서 미국이- 1882년 체결된 조미(朝美)조약에 따라-한국의 독립을 보살펴줄 것을 요청하기 위해서였다. 고종황제가 그를 궁중으로 불러 친히 밀명을 하달하려 했으나 이승만은 황제의 알현을 거절했다.

    나이 서른에 루스벨트와 직접 담판

    난생 처음으로 태평양을 횡단한 이승만은 1904년11월29일 하와이의 호놀룰루에 도착하였다. 그곳에서 하와이 감리교 선교부의 와드맨(J W Wadman) 감리사와 윤병구(尹炳求)목사, 그리고 교포들의 따뜻한 영접을 받았다. 그는 윤목사와 밤새도록 나라일을 의논한 끝에 장차 미국에서 강화회의가 열릴 경우「해외에 있는 한국인들」의 의사를 이 회의에 전달하기로 합의하고 다음날 떠났다. 

    이승만은 美대륙으로 항행, 샌프란시스코. 로스앤젤레스와 시카고를 경유해 1904년 제야의 밤(12.31)에 목적지 워싱턴 DC에 도착했다. 여장을 푼 이승만은 우선 주미공사관을 찾아가 김윤정(金潤晶)등을 만나 자신의 사행(使行)에 대한 협조를부탁했다. 그후 그는 민영환. 한규설이 지시한 대로 친한파(親韓派) 상원의원 딘스모어(H A Dinsmore)를 접촉, 그를 통해 미국 국무장관 헤이(J Hay)와의 면담을 서둘렀다. 그 결과 이승만은 1905년2월20일 딘스모어 의원과 함께 헤이 장관을 30분간 면담할 수 있었다. 헤이는 이 자리에서 朝美조약 상의 한국에 대한 의무를 지키도록 최선을 다하겠노라고 말했다. 이것은閔.韓의 밀사(密使)로서 이승만이 거둔 최초의 외교적 성과였다. 그러나 불행히도 헤이장관이 그해 7월1일 사망함으로써 그 효과는 유실되었다.

    이승만과 루스벨트 대통령의 역사적 만남은 그후 5개월여가 지난 1905년8월4일 오후3시30분에 이루어졌다. 이에 앞서 루스벨트는 7월초에 러일강화회의가 미국의 뉴햄프셔州 포츠머스군항(軍港)에서 자신의 중재하에 열린다고 공표했다. 이어서 그는 심복인 육군장관 태프트(W H Taft)를 동양으로 파견, 일본과의 사전협의를 벌이도록 했다.

    동양출장에 나선 태프트 일행은 7월12일 호놀룰루에 기착했는데, 도착에 앞서 하와이 교포들은「특별회의」를 소집, 윤병구와 이승만을 강화회의에 파견할 대표로 선정하고 미국대통령에게 제출할 탄원서를 마련하였다. 윤병구는 와드맨 감리사를 통해 자기와 이승만을 루스벨트에게 소개하는 편지를 태프트로부터 얻어냈다. 하와이 교포들의 특별회의에서 채택된 탄원서에서 윤.이 자신들은 고종황제의 대표가 아니라「8천명」하와이 교포들의 대표로서「1천2백만」한국 백성(Common People)의 민정(民情)을 대변한다고 전제하고, 한국에서 심화되는 일본의 침략행위를 규탄하면서 미국 대통령이 포츠머스 회담을 계기로 朝美조약에 따라한국의 독립을 지켜주기 바란다고 호소하고 있다.

    윤목사는 이 탄원서를 가지고 7월31일 워싱턴에 도착했다. 그를 맞은 이승만은 함께 서재필을 찾아가 이 탄원서의 영문표현을 다듬었다. 그리고 윤.이는 하와이에서 얻은 태프트 장관의 소개장을 가지고 루스벨트 대통령을 만나기 위해 뉴욕 오이스터 베이(Oyster Bay)의 여름 백악관을 찾아갔다. 때마침 루스벨트는 강화회의장으로 향하는 도중 대통령을 예방한 러시아 대표단을 맞아 눈코뜰 사이 없이 바쁜 가운데서도 한국대표들을 응접해 주었다. 이 역사적 회견에서 이승만은 루스벨트에게 탄원서를 제출하고『언제든지 기회있는 대로 朝美약조를 돌아보아 불쌍한 나라의 위태함을 건져주기 바라노라』고 말했다. 이에 대해 루스벨트는 사안이 워낙 중대하므로 공관을 통해 탄원서를 보내주면 그것을 강화회의에 제출하겠노라고 대답했다. 이에윤.이는 그렇게 하겠다고 다짐하고 물러나왔다.

    루스벨트가 보여준 태도는 윤.이가 기대했던 것 이상으로 고무적이었다. 윤.이는 그날 밤으로 기차를 타고 워싱턴의 한국공사관을 찾아가 김윤정 대리공사를 붙들고 필요한 조치를 당장 취하자고 졸랐다. 그러나 뜻밖에도 김윤정은 본국정부의 훈령이 없기 때문에 그렇게 할 수 없노라고 딱 잡아뗐다. 이승만은「별말을 다하고 길길이 뛰고 달래며 을러」봤으나 허사였다. 결국 하와이 교포들의「탄원서」는 미국 정부당국에 제출되지 못한채 사문서( 死文書)가 되고 말았다. 포츠머스 강화회의에서 한국인의 목소리가 대변되지 못한 것은 물론이다.

    ***한심한 관료주의 이승만의 최초 사행은 이렇게 무참히 좌절되었다. 그는 8월9일 민영환에게 보낸 한글 편지에서 자기의 사행이 실패한 원인을「월급이나 벼슬에만」매달린 김윤정의 협조거부, 즉 배신에서 찾았다. 물론 국가 존망지추(存亡之秋)에 김윤정이 보여준 관료주의적 태도는 규탄받아 마땅하다. 그리고 김윤정의 그러한 행동은 그 당시 일본측에 매수되었기 때문이라고 알려져 있다.

    그러나 과연 이승만 사행의 실패 원인이 김윤정의 배신에만 있었는가.  호놀룰루에서 윤.이에게 루스벨트 앞 소개장을 써주었던 태프트 장관은 7월27일 도쿄에서 일본총리 가쓰라(桂太郎)를 만나 한국 및 필리핀 문제를 논의한 끝에 악명높은「태프트-가쓰라 밀약」을 맺었다. 루스벨트는 이 밀약을 7월31일에 추인하였다. 그런데 이 밀약을 통해 미국은 일본이 장차 필리핀을 공격하지 않는다는 조건하에 일본으로 하여금 한국에 종주권을 수립하는 것을 허용하였던 것이다. 달리 말하자면, 루스벨트는 윤.이를 만나기 전에 이미 일본이 원하는 한국의 보호국화를 승인해주었던 것이다.

    그러므로 그가 윤.이를 응접했을때 한 말은 성가신 한국손님을 정중히 돌려보내기 위한 구차스런 둔사(遁辭)에 불과했다고 볼 수 있다. 이렇게 이승만의 처녀외교는 제국주의 국가간의 흥정에 희생, 좌절되고 말았다.「태프트-가쓰라 밀약」은 1 924년에야 비로소 미국의 외교사가(史家) 데네트(T Dennett)에 의해 세상에 폭로되었다.
    <柳永益>


    [출처: 중앙일보] <이승만과 대한민국 탄생> 4. 이승만의 처녀外交

     


  5. 5. 이승만의 유학 (1)

    내용
    개화기(開化期)에 미국유학을 했던 한국 지식인은 모두 합쳐 70명 미만이다.

    그들 중 가장 많이 알려진 인물은 유길준(兪吉濬). 서재필(徐載弼). 윤치호(尹致昊). 김규식(金奎植). 신흥우(申興雨) 등이다. 이승만은 이들 선구자보다 뒤늦게 도미, 유학했지만 발군(拔群)의 학력을 쌓았다. 그는 동시대의 다른 유학생들에 비해 좀 더 유명한 대학을 다녔고, 또 최초로 철학박사학위를 따냈기 때문에 군계일학(群鷄一鶴)격이 되었다.

    이승만은 1905년초 부터 1910년 중반까지 약 5년6개월 동안 미국에서 세군데의 대학을 다녔다. 제일 먼저 다닌 대학이 워싱턴 DC에 있는 조지 워싱턴大였다. 이 대학은 세계정치의 중심지인 미국 수도(首都)의 한복판, 특히 백악관(白堊館) 바로 옆에 자리잡았기 때문에 정치지망생에게는 인기높은 대학이었다. 이 대학에서 2년6개월동안 공부함으로써 그는 미국정치의 내막을 훤히 파악할 수 있는 안목(眼目)을 개발할 수 있었다.

    그가 어떻게 이 대학에 입학하였으며, 거기서 무엇을 어떻게 배웠는가.

    1904년 말 이승만이 조국을 떠날 때 그의 흉중에는 밀사의 사명 이외에 미국에서 대학교육을 받으려는 야심이 숨겨져 있었다. 미국으로 떠나기에 앞서 그는 게일과 언더우드등 서울의 저명한 미국선교사들로 부터 미국 교계(敎界) 지도자들 앞으로의 추천서를 두둑히 챙겨두었다. 추천서에서 이 선교사들은「정치범」이승만이「7년간」감옥생활을 하면서 40여명의 동료 죄수들을 기독교로 개종시킨 사실을 강조하고 그가 장차 한국 기독교계에서 주도적 역할을 할 것을 예언하면서 그에게 2 ~3년간의 교육「완성」기회를 베풀 것을 부탁하고 있었다.

    워싱턴에 도착하자마자 이승만은 이 추천장들을 들고 워싱턴에서 영향력이 막강한 코베넌트 장로교회(The Covenant Presbyterian Church)의햄린 목사를 찾아가 유학지도를 부탁했다. 햄린목사는 이승만- 그당시 주미 한국공사관의 법률고문이었던-을 조지 워싱턴 대학의 총장 니덤에게 소개했다. 니덤총장은 그를 조지 워싱턴 대학의「특별생」으로 받아주되 배재학당(당시의 영어명칭:『Pai Jai College』)의 학력을 감안하여 학부(學部)의 2학년으로 편입시켜 주었다. 그리고 그는 이승만이 장차 교역자(敎役者)가 되겠다는 의사를 밝혔기 때문에 그에게 등록금 면제의「목회장학금」까지 마련해 주었다.

    이승만은 1905년 2월부터 1907년 6월까지 2년6개월동안 조지 워싱턴 대학에서 학창생활을 했다. 그때 그의 나이는 만30~32세. 만학도(晩學徒) 이승만이 여기서 무슨 과목을 택하였고 또 그의 성적은 어떠했던가. 첫해에 그는 영어( F.C.D), 경제학(E), 역사(B), 철학(E)등 총 여섯과목을 택하였다. 둘째-셋째해에 그는 영어(D.B), 역사(C.A), 수학(E.D), 철학(B), 구약학(B.C)등 총 아홉과목을 택했다. 첫해의 성적은 아주 불량했고, 둘째 해 부터의 평균성적은 「C」였다.

    그 당시 조지 워싱턴 대학의 「C」는 점수로 환산할 때 80~89점을 의미했음으로 이 「C」는 오늘날 한국대학에서의 「B」에 맞먹는다. 그리고 「E」는 낙제,「F」는 결시(缺試)를 의미했다. 이승만은 대체로 역사. 철학 등 인문학 분야에서는 좋은 성적을 보인 반면 수학. 경제학 등 계량- 분석적 학문분야에서는 좋지 않은 성적을 받았다. 그리고 그의 영어성적은 미국학생들에 비해 결코 뛰어나지 못했다. 교역자가 되기 위해 그는 구약학(S emitics)과목을 둘 택했다. 

    전체적으로 이승만의 미국 대학 성적은 그리 우수하지 못했다. 왜 그랬을까.

    우선 그는 1905년 첫학기에 불원천리 아버지를 찾아온 외아들 태산(泰山)이 이듬해 2월 갑자기 병사(病死)하는 바람에 엄청난 비극을 겪어야만 했다. 그는 또 헤이 국무장관과 루스벨트 대통령 등 미국의 정치가들을 만나기 위해 동분서주(東奔西走)하기도 했다. 

    그러나 이러한 것들이 그의 학교공부를 저해하는 핵심적 이유는 아니었던 것 같다. 그는 학교 공부보다는 미국인 교회와 YMCA를 찾아다니며 한국의 독립과 선교사업에 대한 강연과 설교를 하는데 더 열중했다. 조지 워싱턴 대학 재학중에 무려 60회(월평균 2회)의 이러한 강연-설교를 했다. 이것이 바로 그가 학교 공부를 등한시한 주요인이었을 것이다. 이러한 종교활동의 연장으로 그는 1906년 7월에 매사추세츠州의 노스필드에서 개최된「만국(기독)학도공회」의 유일한 한국인총대(總代)로 참가하였다.

    이승만은 필라델피아에 사는 감리교인 독지가 보이드 여사의 배려로 매 여름 뉴저지주州 오시언 그로브에 있는 그녀의 별장에서 망중한(忙中閑)을 즐길 수 있었다. 이 별장에 머무를때 이승만은 옆 별장에 있는 에델 보이어양과 대서양을 바라보는 해변에서 산책을 즐기기도 하였다.


    [출처: 중앙일보] <이승만과대한민국탄생>5.이승만의 留學1.조지워싱턴大


  6. 6. 이승만의 유학 (2)

    내용
    李박사는 세계적 명문인 하버드大와 프린스턴大 대학원에서 2년반만에 석.박사 학위를 취득했다. 

    미국대학에서 2년 남짓한 기간에 인문. 사회과학분야의 박사학위를 취득한 것은 한국인으로서 최초의 쾌거였음은 물론 미국의 대학교육사상 초유의 일이었다. 19세기 후반~20세기 초에 일본과 중국에서 우리보다 먼저 많은 유학생을 서양에 파견했지만 그들 중 李박사의 학력에 필적(匹敵)할 인물은 아무도 없었다.

    이승만(李承晩)의 미국 유학경력에서 가장 큰 수수께끼는 조지워싱턴大 학부에서 성적이 우수하지 못했던「외국학생」이승만이 무슨 수로 하버드大와 프린스턴大 대학원에 진학할 수 있었느냐와 그가 언제 하버드大에서 석사학위를 받았느냐다.

    우선 이승만이 하버드大 대학원에 입학한 비결부터 파헤쳐 보자. 그는 조지 워싱턴大에서 4학기를 마친 1906년 겨울, 자기의 옛 은사 서재필(徐載弼)에게 편지로 하버드大 대학원에 진학할 의사를 밝히고 조언을 구했다. 서재필은 하버드大에 진학하려는 그의 꿈을 칭찬하고 하버드大에서 역사학을 전공할 것과 1년이내에 석사과정을 끝내고 귀국할 것을 충고했다. 서재필은 박사학위까지 취득할 필요는 없다고 못박았다. 이러한 회답을 받은 이승만은 스승의 충고를 선별적으로 수용했다.

    즉 그는 1907년 초 하버드大 인문대학원 원장 앞으로 보낸 입학요청서에서, 자기는 다년간 동양적 학문에 공업을 쌓은 인물이며 한국에서 할 일이 많고 또 자기의 귀국을 고대하는 사람이 많기 때문에 하버드大에서 2년이내에 박사학위를 취득하고 싶다고 밝혔다. 동시에 그는 조지 워싱턴大에서는 2년이내에 박사학위 취득이 가능하다고 덧붙였다.

    이러한 조건부 입학지원서를 접수한 하버드大측은 당황했다. 이유인즉 본국 학생 중에도 인문학 분야에서 2년내에 박사학위를 취득한 선례가 없기 때문이었다(통상적으로 4년이상의 시간이 소요됨). 하버드大측은 결국 이승만에게 시한부 조건없이 박사과정에 입학하되 일단 들어와 석사과정부터 차근차근 밟으라고 대답했다. 이승만은 불만족스럽지만 장차 조국에 돌아가「서양문명을 도입하는 사업」을 벌이기 위해서는「하버드大와 같은 명문대학의 학위가필요하다」는 판단아래 이 입학조건을 받아들였다.

    1907년 가을부터 1908년 봄까지 보스턴 근처 케임브리지市에 있는 하버드大에서의 학창생활은 행복하지 못했다.
    이 대학의 「세속적」인 지적 분위기가 전도열에 불타고 있던「종교적」인 그에게는 맞지 않았을 것이다. 여하튼 그는 역사학 4과목(B.B.B.C), 정치학 2과목(B.B), 그리고 경제학 1과목(D)을 택해 1년 안에 석사학위를 끝내면서 곧 바로 박사과정을 이수하려 했다. 그러나 경제학에서 낙제점(D), 그리고 역사학 과목 하나에서 C학점을 받음으로써 그의 계획에 차질이 생겼다. 이승만이 이 학교를 떠난후(1909) 하버드大 대학원은 그에게 미국사 한과목을 추가로 이수,「B」이상 성적을 받으면 석사학위 를 주겠다고 배려해 주었다. 이승만은 하계대학에서 이 과목의 B학점을 따냄으로써 드디어 1910년(즉,프린스턴大에서 박사학위를 받은 해) 2월23일에 하버드大의 석사학위를 취득할 수 있었다.

    이승만은 하버드大에서 1년간 고전(苦戰)했지만 2년안에 박사학위를 받겠다는 집념을 버리지 않았다. 그는 1908년 겨울 뉴욕으로 가서 유니언 신학교(Union Theological Seminary)에 머무르면서 콜럼비아大 박사과정에 입학할 준비를 했다. 요행히 그는 여기서 몇해전 서울에서 사귀었던 선교사 홀(E F Hall)을 만나게 되어 그와 함께 프린스턴大를 방문, 대학원장 웨스트(A F West)박사를 면접했다. 면접후 웨스트 원장 앞으로 보낸 편지에서 이승만은 다시 2년안에 박사학위를 끝내야 되겠다고 강조했다. 만약 프린스턴大측이 이 점을 고려해주지 않는다면 자기는 차라리 뉴욕에 머무르면서 조건이 더 유리한 콜럼비아大에 입학하겠다고 으름장을 놓았다. 드디어 프린스턴大측은 이승만에게 2년 안에 박사과정을 끝내 주겠다는 보장아래 그를 입학시켜주었을 뿐 아니라 그를 프린스턴 신학교의 특별학생으로 받아주어 신학교 학사에서 무료로 기숙할 수 있게 해주었다.

    만학도(만33~35세) 이승만이 뉴저지州의 아름다운 프린스턴大캠퍼스에서 공부한 기간은 1908년 9월부터 1910년 6월14일까지 2년 미만이다. 이때 그는 신학교 학장 어드먼, 대학원 원장 웨스트, 그리고 대학교 총장 윌슨등의 총애를 받으면서 비교적 즐거운 학구생활을 영위했다.

    그는 프린스턴 신학교에서 신학과목을 청강하면서 프린스턴大 대학원에선 국제법을 전공하고 미국역사와 철학사 를 부전공으로 택했다. 마지막 학기에 그는 엘리엇 교수의 지도아래『미국의 영향을 받은「국제법상의」중립』이라는 제목의 박사논문을 썼 다. 그의 학위논문은 심사위원 3명으로부터「우수」평점을 부여받았으며 졸업후 1912년 1월 프린스턴大 출판부에서 출판되었다.

    이승만은 1910년 7월18일의 졸업식에서-나중 미국의 제28대 대통령이 된-윌슨총장으로부터 손수 철학박사 학위를 수여받았다. 이승만은 서양사(특히 미국사). 정치학. 철학 등을 폭넓게 배운 기초위에 국제법을 전공한, 말하자면 한국 최초의 국제정치학자였다. 19세기 중엽이래 일본과 서구 제국주의 국가들로부터 온갖 수모를 받아온 우리민족은 드디어 당당한 만국공법(萬國公法)의 대가(大家)를 배출한 셈이다.


    [출처: 중앙일보] <이승만과 대한민국 탄생> 6.이승만의 유학(2)

     


  7. 7. 유학생 시절 독립운동

    내용
    이승만(李承晩)이 미국에 처음 건너갔을 때는 단지 2~3년간 그곳에 머무를 작정이었다.

    그러나 1905년 대한제국(大韓帝國)의 외교권이 박탈당하면서 조국이 일제(日帝)의 식민지로 전락될전망이 뚜렷해지자 그는 귀국일정을 늦추고 공부 를 계속했다. 하버드大와 프린스턴大에 적을 둔 이승만은 미국을 방문하는 애국지사와 접촉하거나 재미(在美)교포들과 협조하면서 간간이 국권수호운동을 전개했다.

    미국 유학기간중 이승만은 기회있는 대로 미국인 교회와 YMCA등을 찾아다니며 1백40회 이상 한국의 독립을 역설하는 설교와 강연을 했다. 뿐만 아니라 그는 가끔 미국 동부에서 열린 국제기독교 대회에 한국 대표로 초청받아 수천명 청중 앞에서 한국과 관련된 연설을 했다. 이러한 활동을 펴던 중 1907년 여름 헤이그의 만국평화회의에 참석했다가  8월1일 뉴욕을 방문한 진귀한 한국 손님 이상설(李相卨)을 맞았다. 이승만은 이때 이상설의 루스벨트 대통령 회견을 주선했지만 루스벨트측의 거절로 실패한 것같다. 그들은 앞으로의 독립운동 방략에 관해 숙의한 후 서로 헤어졌다.

    美교회 순례 나라찾기 설교. 강연

    하버드大에 입학한 후 더욱 명성이 높아진 이승만은 장인환(張仁煥). 전명운(田明雲) 두 의사의 스티븐스  포살사건(1908년3월23일)이 일어나기 전(3월4일) 부터 미국 서부 샌프란시스코에서 발행되는 공립신보(共立新報)에 투고, 재미 한 인교포들의 주목을 끌기 시작했다. 교포를 대상으로 하는 언론-정치활동의 연장으로 그는 1908년 7월10~15일간에 콜로라도州 덴버에서개최된「애국동지대표자대회」에 참석했다. 이 모임에는 윤병구(尹炳求). 박용만(朴容萬)등 이승만 지지자 를 비롯한 36명의 대표가 참석했으며, 회의는 스탠퍼드大 총장 조던의 개회사로 개막됐다. 이 대회에서 이승만은 의장(議長)으로 선출돼 결의안 채택에 중요한 영향을 미쳤다. 이 회의는 미국에 산재한 한인 단체들을 하나로 통합, 국사(國事)를 도울 것과 한국민의 교육에 필요한 서적을 저술. 번역해 발행할 것등을 결의했다. 이러한 온건-점진주의적 독립운동노선은 당시 이승만의 생각을 반영한 것으로 볼 수있다. 여하튼 덴버회의를 계기로 이승만은 재미 한인 교포사회 일각에서 최고 지도자로 부상했으며 이 점에서 덴버회의는 그의 정치적 생애에 이정표적 의의가 있었다.

    이 회의가 끝난 다음 8월4일에 영국 데일리 메일紙의 기자로서『한국의 비극』(1908)이란 명저를 펴낸 매켄지는 런던에서이승만에게 축하와 격려의 편지를 보내주었다. 이 글에서 매켄지는 한민족이 일제로부터 당하는 불공정과 억압은 거시적으로 볼 때 한국민 전체를 분발시키는 효과가 있을 것이며 앞으로 한국은 좀더 위대한 나라,즉「아시아 최초의 기독교 국가이자 20세기 진보의 선구자」가 될 것이라고 예언하면서, 이승만. 박용만 등 대회지도자들의「용감한」독립수호노력을 치하했다. 특히 그는 덴버회의대표들이 한민족의 정신력 강화와 서양학술의 도입.보급을 당면 목표로 설정한 것은 현명한 처사였다고 칭찬하면서,『스티븐스를 저격한 일부 인사들의 행위는 바보 짓』이라고 덧붙였다. 스티븐스 포살사건에 대한 매켄지의 이러한 부정적 평은 대체로 기독교국가 지성인의 여론을 대변한 것이었으며 동시에 그 당시 이승만의 가치관과 일치하는 것이었다고 여겨진다.

    덴버회의를 마친뒤 이승만은 미국 서부의 샌프란시스코와 로스앤젤레스를 방문해 그곳에 근거를 둔 두 개의 한인 교포단체, 즉 공립협회(共立協會)및 대동보국회(大同保國會)의 지도자들과 접촉했다. 이승만이 미국 서부의 교포사회에 발을 들여놓자 안창호(安昌浩) 중심의 관서(關西)출신 인사들로 구성된 공립협회는 비교적 냉담한 반응을 보여준 반면, 문양목(文讓穆). 안정수(安定洙). 장경(張景) 등 기호(畿湖) 출신 인사들이 우세한 대동보국회는 이승만을 자신들의 영도자로 추대하기로 정하고 회장 문양목등 간부 5명의 연명으로「이승만 대정각하(大政閣下)」에게 혈서(血書)-진정서-를 바쳤다.심지어 대동보국회측에서는 1910년초에 로스앤젤레스에 대동신서관(大同新書館.사장 문양목)을 설립하여 이를 통해 이승만의 옥중저서『독립졍신』을 출판해 주기까지 했다. 그러나 오랫동안 교포단체의 통합을 주장해온 이승만은 대동보국회 가입을 보류하고 양대 교포단체에 대해 불편부당(不偏不黨)의 입장을 견지했다. 이윽고 1910년 2월10일을 기해 이 단체들이 대한인국민회(大韓人國民會)로 통합되자 그는 이 단체에 가입을 신청해 1910년 3월21일자로「국민회 입회증서」를 교부받았다.

    미국유학중 프린스턴大 총장 윌슨은 남에게 이승만을 소개할 때「미래 한국 독립의 구원자」라고 진담반. 농담반으로 평언했다. 이 무렵 한국인들간에도 이승만의 잠재적 가치를 높이 사 그를「각하」라고 부르는 이가 있었고 그에게 정치헌금을 하는 사람들도 있었다.


    [출처: 중앙일보] <이승만과 대한민국 탄생> 7.유학생시절 독립운동

     
  8. 8. 이승만의 環鄕

    내용
    이승만(李承晩)박사가 미국에서 철학박사 학위를 취득할 무렵 대한제국은 일제(日帝)에 병탄되는 과정에 있었다.

    세계적인 명문에서 박사학위를 취득했으나 그에게는 돌아갈 조국이 없었다. 민영환(閔泳煥). 한규설(韓圭卨)등 그를 아껴주던 조선정부 위정자들이 자결하거나 거세당했기 때문에 미국에서 공부한 국제법을 당장 활용할 곳이 없어진 것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그는 가족(부친과 본부인)이 학수고대(鶴首苦待)하는 조국의 품안으로 돌아왔다. 그의 금의환향(錦衣還鄕)은어떠했을까.

    하버드大 재학시절부터 이승만은 졸업후의 진로문제에 대해 서울에 있는 게일. 언더우드등 선교사들에게 간간이 조언을 구했다. 그들은 한결같이 이승만에게 한국에서 할 일이 많다고 강조하면서 반드시 귀국해 같이 일하자고 권했다. 게일은 이승만이 귀국해 황성기독교청년회(서울 YMCA)에서 일하는 것이 좋겠다고 충고한 반면, 언더우드는 자신이 창립을 계획하고 있는 대학, 즉 경신(儆新)학교(연세대학교 전신) 대학부의 교수로 취임해 주기를 바랐다. 

    이승만은 프린스턴大에서의 마지막 학기인 1910년 3월말 뉴욕에 있는 YMCA국제위원회를 찾아가 그곳 책임자들과 자신의 취업문제를 의논했다. 이때 그들은 이승만이 귀국해 서울 YMCA에서 일해주기를 부탁했다. 그러나 이승만은 언더우드가 설립하려고 하는 대학의 교수직에 미련을 버리지 못하고 4월13일 언더우드 앞으로 편지를 썼다.

    이 편지에서 이승만은「자유로운」하와이에도 자기가 일할 곳은 있지만 귀국해 한국국민을 상대로 기독교 교육사업에 종사하고 싶다고 털어놓았다. 좀 더 구체적으로 그는 한국인들에게 서양문명의 온갖 축복이 예수 그리스도의 십자가에 기초한 것임을 깨우쳐 주는 설교를 하며, 미국대학에서 전공한 정치학에 관련된 과목들, 예컨대 국제법. 서양사및 미국사를 가르치며, 이러한 학문및 종교에 관련된 책들을 번역 내지 저술하고 싶다고 자신의 포부를 밝혔다. 이어 그는 이와같은 종교. 교육사업을 통해 반일(反日)운동 혹은 혁명을 선동할 의도는 없지만 이를 일제 통감부가 어떻게 봐줄는지 의문이라고 지적하면서 자신의 일거일동에 대한 일제당국의 감시 태도야 말로 가장 우려되는 점이라고 토로했다.

    YMCA에서 일자리를 잡는 경우 자기의 비타협적 성격 때문에 일본인들과의 마찰이 불가피할 터이므로 차라리 YMCA보다 덜 가시적인 직장-예컨대 교수직-에서 일하는 것이 나을지 모르겠다고 속마음을 털어놓았다. 또한 그는 YMCA의 간부 혹은 대학교수로 일하는 대신 부흥사가 되어 전국을 돌아다니며 가난한 백성을 상대로 복음을 전파하는 일에 일생을 바칠 각오도 서 있다고 덧붙였다.

    언더우드 박사는 원래의 대학창립 계획에 차질이 생겼기 때문인지 이 편지에 대한 답을 빨리 하지 않았다. 답장을 기다리는 동안 서울 YMCA측은 5월23일자로 이승만에게 취업 초청장을 보냈다. 질렛총무의 이름으로 작성된 이 초청장에서 서울YMCA측은 이승만을 1년간 황성기독교청년회의「한국인 총무」로 고용하되 월급은 1백50엔(75달러), 즉 연봉(年俸)으로는 9백달러를 주겠다고 제의했다.

    질렛은 이승만의 취업문제로 서울에 있는 일본 부통감(副統監:曾根荒助)을 만나 상의했는데 부통감이 이승만의 YMCA직 취임에 대해 호의적인 반응을 보였다고 하면서 자기와 부통감은 서로 잘 아는 사이기 때문에 귀국후 이승만의 신변에 별 문제가 없을것이라고 귀띔해 주었다. 질렛총무가 이승만에게 제시한 봉급수준은 그 당시 한국에서 일하던 구미(歐美)선교사들의 평균연봉이 6백~8백달러였던 사실에 비추어 볼 때 종교인으로서는 상당한 고봉(高俸)이었다. 그러나 그 무렵 서울에서 근무하는 미국공사(公使)의 연봉이 3천달러였던 점을 감안할 때 선교사가 아닌 외국인들의 보수수준에 견주어서는 박봉이었다.

    서울YMCA로부터 최종 제의를 받은 이승만은 프린스턴大에서 박사학위를 받은 다음날(7월19일) 취업수락의 편지를 썼다. 동시에 그는 자기가 받을 봉급에서 1백80달러를 미리 떼어내 귀국에 필요한 선표와 기차표를 구입하고 프린스턴 신학 대학 학사에있는 짐을 꾸렸다. 이승만의 짐은 대부분이 책이었는데 그 짐속에는 오랫동안 애용하던 타이프 라이터와 자전거가 포함되어 있었다. 정들었던 미국땅을 떠나기 전(8월)에 그는 네브래스카州 해스팅스에 있는 옥중동지 박용만(朴容萬)을 찾아가 그곳에 있는 다른 한국인들과 함께 석별의 정을 나누었다.

    드디어 1910년9월3일, 즉 한일합방조약이 공포된지 나흘후 그는 뉴욕항구에서 영국의 리버풀로 향하는 기선 발틱호에 몸을 실었다. 1주일간의 항해끝에 영국에 도착한 그는 런던. 파리. 베를린. 모스크바등 유럽의 대도시를 잠깐씩 둘러 본 다음 시베리아 횡단철도를 타고 유라시아 대륙을 통과했다. 만주땅을 거쳐 압록강 다리를 넘을 때 그는 일본경찰의 까다로운 입국검사를 받으면서 비로소 망국민의 설움을 체감했다. 그를 실은 기차는 드디어 10월10일 오후8시 서울 남대문역에 도착했다. 도미(渡美)한지 만 5년11개월6일만에, 그리고 뉴욕을 출발한지 1개월7일만에 이승만은 꿈에도 잊지못하던 고향에 도착한 것이다.

    미국에서 이룩한 빛나는 형설(螢雪)의 공에 비해 그의 환향(還鄕)은 너무나 쓸쓸했다.
    <유영익교수 한림대.한국사>


    [출처: 중앙일보] <이승만과대한민국탄생>8.이승만의 環鄕

     


  9. 9. 이승만과 YMCA

    내용
    미국 유학을 마치고 귀국한 이승만(李承晩)박사는 1910년 10월부터 1912년 3월까지 1년5개월간 서울 종로에 있는 황성기독교청년회(서울YMCA:1903년 창립)의「학감」으로서 30대 중반 늦청춘의 정열을 불태웠다. 

    이 기간 그는 안으로는 조혼한 朴씨부인(朴承善)과 이혼하는 불운을 겪으며 밖으로는 일제(日帝)총독부 당국과 예민한 신경전을 벌이면서 YMCA를 중심으로 나라잃은 민족의 기독교화 사업, 즉 음성적인 독립운동에 자기 자신을 몰입시켰다.

    귀향한 이승만은 동대문밖 창신동 625-낙산(駱山)중턱의 성벽아래 지장암(地藏菴)옆-에 자리잡은 본가를 찾아들었다. 거기에는 노경(74세)을 헤매는 아버지 경선(敬善)공과 아내 朴씨가 하녀 한명(박간난이)을 거느리고 어려운 생계를 이어가고 있었다.  6년동안 넓고 아름다운 미국 대학캠퍼스와 기숙사, 그리고 별장. 호텔등에서 「화사한」생활에 익숙해진 李박사에게 가족의 가난한 생활상은 너무나 구차스럽게 느껴졌을 것이다. 애당초 부인과 금실이 좋지 않았던 터에 막상 비좁은 삶의 공간에서 -외아들 태산(泰山)이 미국에서 객사(1906년)한 다음-견원지간(犬猿之間)이 된 아버지와 朴씨부인 사이에 끼여들고 보니 그는 문화적 충격에 겹쳐 심각한 심리적 갈등을 겪게 되었다.

    첫부인과 이별후 기독교화사업 몰두

    날로 증폭되는 가정내 불협화음을 견디지 못한 그는 드디어 1910년 겨울 어느날 밤 창신동 집을 뛰쳐나가고 말았다. 이렇게파경(破鏡)한 그는 줄곧 종로 YMCA 건물 3층에 기거하면서 신들린 사람처럼 종교사업에 몰두했다. 마치 내면의 죄책감을 선행으로 보상하려는 듯이….

    1910년대의 서울YMCA는 이승만의 옥중동지들과 외국 유학파 개화 지식인이 한데 모인 독립협회(獨立協會)의 축소판이었다. 미국인 선교사 질렛 총무와 브로크만 협동총무 아래 몇년 전 이승만의 영향으로 한성감옥 안에서 기독교로 개종한 이상재 (李商在) 김정식(金貞植) 이원긍(李源兢) 유성준(兪星濬) 안국선(安國善) 등 애국지사들이 미국. 일본등지에서 유학하고 돌아온 기독교 지식인 윤치호(尹致昊) 김규식(金奎植) 김린(金麟) 등과 손잡고 종교부. 교육부. 학생부등의 요직을 도맡아 한국 YM CA운동을 이끌어가고 있었다.  한국 기독교 엘리트들이 모인 서울 YMCA는 미국. 유럽 및 일본 등 외국의 YMCA와 튼튼한 유대를 가진 국제적 기구로 일제 총독부 아래서 일종의 치외법권(治外法權)을 누리는 국내 최강의 항일 독립운동단체 구실을 하고 있었다.

    이승만의 귀국 무렵 한국의 개신교 교인들은 서울 YMCA를 중심으로 기독교 각파 연합사업인「백만인 구령(救靈)운동」을 벌이고 있었다. 그가 서울에 도착한 10월에 종로 YMCA 건물 안에서는 대 전도집회가 열리고 있었다. 전도집회가 최고조에 달했던 시점에 돌아온 그는 이 역사적 부흥운동의 물결을 타고 자신의 포부를 펼쳐나갔다.

    서울 YMCA 내에서의 이승만의 직함은 영어로는「Chief Korean Secretary」(한국인 총무), 한국인들의 표현으로는 YMCA학교 학감(學監)이었다. 그의 직위는 서울 Y의 미국인 총무 질렛과 동격이었으며 한국인 간부중에서는 최고위의 자리였다. 실제로 그가 맡은 일은 서울 Y의 학생부와 종교부 사업을 총괄하는 것이었다. 서울 YMCA학교 「학감」으로서 이승만이 펼친 구체적 일은 교회 설교, 성경연구반(바이블 클래스) 인도, 강의와 강연, 전국적 YMCA망 구축, 번역사업 등이었다.

    『나는 안식일 때마다 바깥 교회에 나가서 설교하는 일과 오후의 바이블 클래스 지도를 계속하고 있습니다. 그 한편으로 나는 청년회 학교에서 주 9~12시간의 강의를 합니다. 다른 학교에 나가서 수시로 하는 짧은 강의 외에도 청년회 학교 생도들만을 위한 주3회의 특강을 해야합니다』라고 그는 1911년2월13일자 YMCA 국제위원회 앞 보고서에 자신의 활동을 요약했다.

    이승만은 귀국 직후 첫주일(10월16일)에 5백70명이 모인 학생집회에서 전도강연을 했으며 이 모임에서 성경연구반 회원 1백43명을 획득했다. 그후 그는 매주 오후 성경연구반을 인도했으며, 매회 평균 1백89명의 학생을 만났다. 성경연구반은 이승만이 YMCA사업으로 도입,  정착시킨 그의 역점사업의 하나였다.

    그는 서울 YMCA 학교에서 성경과「만국공법」(국제법)을 가르쳤다. 이때 이승만의「명강」을 들었던 학생 중에는 훗날 외무부 장관이된 임병직(林炳稷), 공화당 의장 정구영(鄭求瑛), 과도정부 수반 허정(許政), 한미협회 회장 이원순(李元淳)등 명사가 포함된다.

    경향(京鄕) 각지에 산재한 미션계 학교에 YMCA를 조직하고 관리하는 것도 이「학감」의 일이었다. 그는 언더우드가 창설한 경신(儆新)학교등 서울에 있는 여러 학교안에 YMCA를 조직하고 토요일마다 서울 YMCA 학생회 주최로 시내 5개 학생Y의 연합토론회를 열었다. 이러한 활동의 연장으로 그는 1911년 초여름과 가을에 전국순회 전도여행을 하면서 미션학교들을 돌아보고 지방 YMCA를 조직했는데 이때 그는 일제에 짓밟혀 신음하는 민족의 참상을 직접목도할 수 있었다.

    이렇게 여러가지 일로 동분서주(東奔西走)하는 가운데서도 그는 짬을 내 YMCA 국제위원회 총무 모트박사가 저술한 『신입학생 인도』(Work for New Students)라는 책자를 번역, 이를 1911년 10월에 출간했다. 이 책은 그가 미국유학시절에 꿈꾸었던 번역사업의 첫 열매였다
    <유영익 한림大.한국사>


    [출처: 중앙일보] <이승만과 대한민국 탄생> 9.이승만과 YMCA

      


  10. 10. 이승만의 망명

    내용
    이승만(李承晩)박사는 그립던 조국의 품안에 안긴지 1년반도 채 안된 1912년 봄,자의반 타의반으로「종교적」망명(亡命)길에 올랐다.
    그 이유는 무엇이었을까.한마디로 일제가 한국의 기독교 세력을박멸하기 위해「데라우치(寺內)총독 암살미수사건」-즉「1백5인 사건」-을 날조,전국적으로 기독교지도자들을 체포하면서 그 마수를 서울YMCA에까지 뻗쳤기 때문이었다. 

    소위 1백5인 사건이란 한국을 병탄한 일제가 안창호(安昌浩)선생의 비밀결사 신민회(新民會:1907년 창립)를 뿌리뽑고,나아가 평북 선천(宣川)지역의 개신교 교회와 서울YMCA의 조직을 파괴함으로써 외국과 연계된 한국 개신교세력을 탄압,거세할 목적으로 날조한 사건이었다.여러가지 자료를 종합해 볼때 서울YMCA의 이승만「학감」은 자기의 맡은 일을 너무 열심히 수행한나머지 이 역사적 사건의 원인을 제공하고 있었던 것이다.이 점을 여기서 살펴 보자.
    1911년 여름(5~6월)에 그는 서울Y의 브로크먼 협동총무와 함께 한달 이상 전국을 돌아다니며 순회전도를 했다.
    이때 그는「기차를 타고 1천4백18마일,배를 타고 5백50마일,말 또는 나귀를 타고 2백65마일,우마차를 타고 50마일,걸어서 7마일,가마 또는 인력거를 타고 2마일」,도합 2천3백마일(3천7백㎞)을 누비면서 13개 선교구역을 방 문하고,33회의 집회에서 7천5백35명의 학생을 만났다.그가 방문한 고을중에는 평안북도 선천이 포함되어 있었다.
    서울로 돌아오는 길에 그는 개성에 들러-前독립협회장및 서울YMCA의 부회장-윤치호(尹致昊)가 설립한 한영서원(韓英書院)을방문,그곳에서 개최된「제2회 전국기독학생 하령회(夏令會)」에 참여했다.이 모임에는 바로 전해 서울에서 열렸던 제1회 하령회때의 참석인원 46명의 두배가 넘는 93명의 학생대표가 전국 21개 미션학교를 대표해 참석했고 뉴욕에서 화이트,인도에서 셔우드등 외국인 강사가 초빙되어 열강(熱講)하는등 대성황을 이루었다.학생대표들은 한국의 기독교 학 생운동의 활성화방안으로서 세계기독학생협의회(WSCF)가맹문제를 열띠게 토의했다.
    개성의 하령회를 지켜본 총독부 경찰은 아연 긴장했다.그들은 이 모임의 대회장이 윤치호라는 사실,그리고 이승만이 브로크먼등외국선교사들과 더불어「처음부터 끝까지 학생들과 숙식을 같이 하면서 모사(謀事)」한 사실을 중시했다.
    병탄후 한국인의 모든 정치.사회단체를 강제로 폐쇄하는데 성공한 총독부였지만 YMCA만은 그 국제적 유대때문에 함부로 건드리지 못하고 있었던 터에 윤치호.이승만 등 명망있는 인사들의 영향으로 학생들간에 Y운동이 요원의 불길처럼 번져 나가고 있다고 판단한 총독부는 서둘러 비상대책을 강구하게 되었다(전택부.『월남 이상재』참조).
    1백5인 사건은 총독부 경찰이 1911년11월11일 평북 선천의 신성(信聖)학교 학생 20명과 선생 7명을 검거,서울로 압송함으로써 시작되었다.
    그 후 데라우치총독 암살미수라는 어마어마한 날조 죄목으로 검거된 사람은 7백명이었고 그중 1백23명이 고문 받은 다음 기소되었다.1912년6월28일 열린 첫 공판에서 그중 1백5인이실형을 선고받았다.
    한국 개신교계의 거두 윤치호는 1912년2월4일 이 사건의 주모자로 몰려 체포됐다.윤치호가 체포됐다는 소식을 들은 이승만은 다음 차례가 자기라고 예감하고 운명의 손이 그의 방문을 두드리는 날을 초조하게 기다렸다.
    요행히 그는 서울Y의 질렛총무와 한국을 방문한 YMCA국제위원회의 모트총무 개입으로 체포를 면할 수 있었다.이들은 미국교계에서 이름이 알려진 이승만을 체포하면 국제적으로 상당한 말썽이 빚어질 것이라고 경고했던 것이다.
    때마침 1912년은 제4년 감리교 총회가 미국 미니애폴리스에서 열리는 해였다.이승만을 구제하기 위해 서울에서는 3월9일 감리교회 각지방 평신도 제14기회의가 소집되었다.


    이 회의에서 이승만은 우리나라 감리교 평신도(平信徒)대표로 선출됐다.한국 평신도 대표로 뽑힌 이승만은 그때까지 지녔던 미국 교적(敎籍)을 바꿀 필요가 있었다.이때 서울(종로)중앙감리교회의 이경직(李景稙)목사가 그의 교적을 미국 매 사추세츠州 케임브리지市에 있는 엡워스 감리교회로부터 자기 교회로 옮겨주었다.이러한 법적 조치가 마무리된 다음 일본에 있는 감리교 동북아(東北亞)책임자 해리스감독이 일본정부에 부탁해 이승만의 여권문제를 해결해 주었다.
    이승만이 서울을 떠나던 1912년3월26일은 그가 만 37세가 되는 생일이었다.서울을 떠나기전 그는 창신동 집을 찾아가 중풍으로 몸져 누워있던 75세 고령의 노부에게 눈물로써 작별인사를 했다.이경선옹은 문까지 나와 차마 외아들의 얼굴을 보지 못하고 그에게 손만 흔들었다.
    이것이 사랑하는 아들과의 마지막 만남인줄 알았을까.무거운 발걸음을 옮기는 이승만의 뇌리에는 일찍이 한성감옥서에서 지었던 한시(漢詩)한 구절이 떠올랐다.
    『예부터 그지없다 지사(志士)의 한은 충효를 간직하긴 어려워서라』(從來志士無窮恨 忠孝元難兩得全).
    <유영익 한림대.한국사>  

     


    [출처: 중앙일보] <이승만과대한민국탄생>10.이승만의 망명


  11. 11. 이승만의 방황

    내용
    1912년 봄 일제의 개신교 박해를 피해 조국을 탈출한 이승만(李承晩)의 마음은 불안했다. 그는 모처럼 외유(外遊)기회를 활용해 국제무대에서 한국기독교회를 살려내는 특별한 공을 세우고 빨리 귀국하든가, 아예 미국에 정착해 독립운동을 벌이든가 둘중 한길을 선택해야 하는 결단의 기로(岐路)에 서 있었다.

    이승만은 미국 미니애폴리스로 향하는 도중 일본에 들러 열흘동안 머무르면서 재일(在日) 한국 YMCA  총무로 임명된 옥중동지 김정식(金貞植)을 도와 도쿄 한국 YMCA의 기초를 다지는 작업을 벌였다. 그는 3월말 가마쿠라(鎌倉)에 소집된 한인「학생대회」에서 의장역을 맡아 1주일간 대회를 인도한 끝에 26명의 창립회원으로「학생복음회」를 발족시킬 수 있었다.

    국제선교대회서 한국독립 호소

    그 다음 그는 도쿄 한국 YMCA회관(옛 한국주일공사관 자리)에 마련된 특별집회에 연사로 나서 회관 신축기금 모금을 위한 연설을 해 그 자리에 모인 2백18명의 유학생들로부터 건축기금 1천3백62엔(총경비 3만5천9백50엔)을 거두는 개가를 올렸다. 이승만은 4월10일 감리교 동북아 총책임자인 해리스 감독과 함께 일본을 떠났다.이날 서울의 일본감리교회 목사가 요코하마(橫濱) 부두까지 마중나와 이승만에게 6개월 이내에 귀국할 것과 미국에 머무르는 동안 일정(日政)의 비위를 건드리 는 언사는 삼갈 것을 당부했다. 동행인 해리스 감독도 그에게 일본의 한국통치를 인정하고 이에 적응할 것을 권고했다. 이러한 충고로 미루어 그 당시 일제 당국이나 선교사들은 이승만이 6개월 이내에 귀국할 것으로 예상했으며, 이승만 자신도 이러한 가능성을 고려하고 있었음을 알 수 있다.

    이승만 일행이 목적지 미니애폴리스에 도착한 것은「국제감리교대회」가 개막되 직전이었다. 5월1일 오전10시 막을 올린 이 대회는 29일까지 계속됐다. 4년에 한번 모이는 이 대회의 목적은감리교회의 감독을 선출하고 선교정책을 결의하는 것이었다. 이승만은 이 대회에서 일부 대표들이-한국감리교회의 독립성을 약화시킬목적으로-한국감리교회를 중국감리교협의회에 통합시키려는「음모」를꾸미고 있다는 사실을 알아채고 이 음모를 좌절시키는데 주력했다. 아울러 그는 이 회의에서 한국 의 자주독립이 세계평화에 필수적이며 이를 위해 세계 모든 기독교도가 단결,노력해야 한다는 취지의 연설을 했다(서정주『이승만박사전』참고).

    이 대회는 이승만의 기대와 달리 한국과 일본에서의 선교사업을 일본의 협조아래 추진한다는 기왕의 정책을 재확인하면서 끝맺었다. 이러한 결론이 그에게 못마땅한 것이었음은 물론이다.

    이승만은 대회기간중 자신이 표출한 반일적(反日的) 언동이 자기의 귀국 가능성을 위태롭게 했음을 자각하고 씁쓸하게 대회장을 떠났다. 미니애폴리스 대회후 이승만은 한국기독교회 문제해결의 돌파구를 고차원의 개인외교에서 찾았다. 즉 그는 프린스턴大 재학때 총장이었던(장로교인) 윌슨 박사를 만나 그에게 한국기독교회에 구원의 손길을 펼쳐줄 것을 호소해 보려고 한 것이다. 당시 윌슨은 뉴저지州 지사로서 민주당 대통령후보로 출마해 6월25일로 예정된 민주당 전당대회에서의 지명획득에 온 정신을 쏟고 있었다. 윌슨과의 면담을 성사시키기 위해 이승만은 6월5일 학창시절에 사귀었던 윌슨의 둘째딸 제시를 만나 그녀에게 이 일의 주선을 부탁했다. 제시양의 적극적인 협조로 이승만은 6월19일 저녁 뉴저지州 시거트에 있는 주지사 별장에서 윌슨 지사와 그의 가족을 만날 수 있었다. 이때 이승만은 넉달전 프린스턴大 출판부를 통해 간행된 자신의 저서(박사학위 논문)를 윌슨에게 증정한 다음 용건을 내놓았다. 이 천재일우(千載一遇)의 기회에 이승만이 윌슨에게 구체적으로 어떤 요청을 했는지는 자료부족으로 분명치않다. 이때 이승만은 윌슨에게 일제로 하여금 한국 기독교인들에 대한 박해를 즉각 중지하고 폭넓은 종교적 자유를 허용할 것을 요구하는내용의 성명서에 동의 서명해줄 것을 요청했을 것으로 여겨진다.

    여하튼 윌슨은 이승만의 당돌한 요청을 거부했다. 개인적으로는 물론 돕고 싶지만 미국의 정치를 위해서는 그렇게 하는 것이 시기상조라는 것이 그의 입장이었다. 그러나 이승만은 쉽사리 물러서지 않았다. 그후 그는 제시의 도움으로 두번(6월3 0일과 7월6일) 더 시거트 별장을 찾아갔으나 허사였다.

    윌슨을 통해 한국교회, 특히「1백5인 사건」으로 고생하는 기독교인들을 구제해 보려던 자신의 기도가 실패하자 그는 잠시 뉴욕州 북방 실버베이의 해외선교사 휴양소에서 여름휴가를 즐긴 다음 옥중결의(結義) 동생 박용만(朴容萬)을 만나기 위해 네브래스카州 헤이스팅스로 갔다. 8월14일 이승만이 헤이스팅스 역에 도착했을때 박용만은 자기가 조직. 훈련한 소년병학교 학도 34명을 데리고 나와 거수경례로 그를 맞이해 주었다.

    닷새동안 헤이스팅스에 머무르면서 이승만은 박용만에게 개인적 고민과 민족적 문제를 터놓고 얘기했다. 그 결과 이 두「형제」가 도달한 결론은 다같이 한국동포가 가장 많이 모여 사는 하와이로 건너가 그곳에서 장기적인 독립운동을 펼치자는 것 이었다. 이로써 이승만은 그동안 미련을 버리지 못하고 있던 귀국 희망을 포기하고 하와이에 장기적「망명」을 하기로 결심한 것이다.

    박용만과 작별한 이승만은 1912년 후반 주로 뉴저지州 캄덴의 YMCA에서 머무르다가 드디어 1913년 1월10일 미국 동부를 떠났다. 기차로 시카고. 로스앤젤레스를 거쳐 샌프란시스코에 도착한 그는 1월28일 호놀룰루行 기선 시에라호에 몸을 실었다.
    <유영익 한림대교수.한국사>


    [출처: 중앙일보] <이승만과 대한민국 탄생> 11.이승만의 방황

     
  12. 12. 이승만과 하와이의 꿈

    내용
    샌프란시스코에서 이승만(李承晩)박사를 태운 배는 1주일간의 항해 끝에 1913년2월3일 오전8시 하와이 군도(群島)의 하나인 오아후 섬 호놀룰루에 입항했다.

    석달 전에 이곳에 도착해 李박사 맞이 준비를 해온 박용만(朴容萬)이 미리 李 박사를「찬란하게」소개. 선전했기 때문에 수많은 동포들이 부두에 나와 李박사를 환영해 주었다. 그러나 출영나온 하객들의 얼굴은 어쩐지 어색하게 굳어 있었다. 왜 그랬을까. 李박사의 부친 경선(敬善)공이 두달전(1912년12월5일) 서울에서 별세했다는 전보(凶報)가 그를 기다리고 있었기 때문이었다.

    태평양잡지 창간 초창기 주필로 筆鋒

    이제 사고무친(四顧無親)이 된 李박사는 태평양 한가운데 절해고도(絶海孤島)에 홀로 선 것이다.
    이승만이 찾아온 하와이領은 하와이. 마우이. 오아후. 가와이 등 여덟개의 유인도(有人島)로 구성된 군도로 1898년 미국에 병합되었다(사탕수수 재배로 유명한 이 지역에는 1850년대 이래 일본인. 중국인. 포르투갈인. 필리핀인 등 각국 노동자들이 유입돼 원주민. 백인과 더불어 인종적 모자이크를 이루고 있었다). 1902년12월 대한제국 정부가 이곳으로 이민을 허락한 다음 1905년7월 일제(日帝)의 방해로 이민이 중단될 때까지 2년6개월여 사이에 무려 7천2백26명의 한국인이 사탕수수 농장의노동자로 몰려왔다.

    1913년 이승만이 도착했을 무렵 하와이 여러 섬에는 약 6천명의 한국인이 흩어져 살고 있었다(당시 美洲전체의 한인동포 수는 9천여명). 그들중에는 사탕수수밭을 떠나 소작농으로 성장한 사람도 있었고 아예 도시로 진출해 행상. 식료잡화상. 채소상. 재봉소. 이발관. 여관업 등 영업을 하는 동포들도 있었다. 당시 농장에서 일하는 한인노동자의 일급(日給)은 75센트, 월급(月給)으로 따져 18달러에 불과했다. 그렇지만 영어를 조금 하는 동포로 미국인 상점에 고용되거나 재판소의 통역이 된 사람은 한달에 30~40달러 혹은 60~70달러를 벌고 있었다.

    호놀룰루에 도착한 이승만은 오아후 섬 푸나이 지역에 교포들이 마련해준 조그마한 집에 입주했다. 우선 그가 시작한 일은 현지 답사였다. 그는 1913년5월 중순부터 7월말까지-이따금 현지 사정에 밝은 안현경(安玄卿)을 대동하고-하와이.  마우이. 가와이등 큰 섬들을 답사했다.

    이러한 현지 답사여행을 통해 그는 동포들의 생활상을 자기 눈으로 직접 확인 함과 동시에 그들에게 자신을 소개함으로써 장차 하고자 하는 사업에 대한 지원-특히 재정적 지원-을 약속받으려 했다.  그러면 하와이에서 이승만이 실현하려 했던 꿈은 무엇인가. 그가 제일 먼저 착수하기로 마음먹은 일은-워싱턴에 있는 서재필(徐載弼)과 협력-전세계를 상대로 한국의 억울한 사정을 호소함과 동시에 한국인의 독립의욕을 북돋우는 목적으로 영문 (英文)월간잡지를 간행하는 것이었다.

    그러나 영문잡지에 대한 현지 한인들의 호응이 미약해 필요한 자금조달이 어렵다는 것을 깨달은 이승만은 1913년9월20일『태평양잡지』(The Korean Pacific Magazine)라는 한글 월간잡지를 창간했다. 이 잡지는 그후 1930년말 『태평양주보』로 바뀔 때까지 17년간 간행됐다. 이승만은 이 잡지의 초창기 주필로서 나름대로의건필을 휘두르며 교포들의 가슴속에 기독교 정신과 애국. 독립사상을 고취하려 했다.

    다음으로 그가 하고 싶었던 일은 동포 자제들의 교육을 위해 학교를 경영하는 것이었다. 그가 하와이에 오기 전(1906년)에호놀룰루에는 이미 미국 감리교선교부에서 경영하는「한인기숙학교」가 있었다. 때마침 이 학교에 분규가 있었기 때문 에 학교의 경영책임자였던 미국인 감리사 와드먼이 교장직을 李박사에게 맡겼다(1913년8월).
    이승만은 흔쾌히 교장직을 맡아 1913년9월2일 이 학교 이름을「한인중앙학원」으로 바꾸고 학제를 개혁해 학생들에게 영어와 성경 등 과목 이외에 한글과 한문 그리고 한국역사를 가르침으로써 2세 동포들의 마음속에 민족혼과 독립정신을 심어주려 했다.

    그 다음으로 그가 시도한 일은 한국동포의 기독교화를 목표로 선교사업을 펼치는 것이었다. 그는「한인기숙학교」의 교장직을 맡을때 호놀룰루 한인감리교회의 교육책임자 역도 맡았다. 동시에 그는 오아후 섬의 펄 시티를 중심으로 교회 부흥운동의기치를 들었다. 그의 헌신적인 전도노력에 힘입어 오아후 섬 여기저기에서 세례받는 사람의 수가 부쩍 늘고, 교회당이 신축되며, 불화가 있던 교회들이 화합하는 등 한인 기독교계에는 생기가 돌았다.

    이승만이 이렇듯 언론. 교육. 선교의 세방면으로 조국광복을 겨냥한 장기적인 포석을 하고 있을 때 그의 막역한 동지 박용만은『국민보』라는 국민회(國民會) 기관지의 주필로서, 그리고 1914년6월 창단된「대조선국민군단」(大朝鮮國民軍團)의 사령관으로서 이승만과 쌍벽을 이루어 하와이 군도 동포사회를 이끌어가고 있었다.  이 두「영웅」이 호형호제(呼兄呼弟)하면서 서로 아끼고 돕는한 동포사회는 평온했고, 또 李박사의 평판은 한결같이 좋았다.

    그러나 1915년5월 국민회 재정문제로 하와이 동포사회에 일대「풍파」가 일어나면서 두「의형제」간의 우정에 금이 가자 동포사회는 양분되고 이승만의 위상은 흔들리기 시작했다.


    [출처: 중앙일보]  <이승만과 대한민국 탄생> 12.이승만과 하와이의 꿈

     
  13. 13. 호놀룰루 정착

    내용

    미국 유학시절 이승만(李承晩)박사는 귀국해 대학 강단에서 국제법과 서양사를 강의할 것을 꿈꾼 일이 있다.
    1912년 조국을 뒤로 하고 다시 미국으로 떠날 때 그는 선교사 언더우드로부터 서울에 세워질 최초의 기독교 대학,즉 연희전문학교(現 연세대)의 교수직을 제의받은 일도 있다.
    그러나 그가 일제(日帝)와 타협을 거부하고 해외로 망명하는 길을 택함으로써 대학교수가 되려던 꿈은 영원히 무산되었다.
    호놀룰루에 정착한 그는 초등학교 교장으로 하와이 여러 섬에 산재한 한국 어린이들을 모아 기독교 정신과 애국사상을 심어주는일에 혼신(渾身)의 힘을 기울였다.
    이승만이 1913년 초 호놀룰루에 도착했을 때 그곳에는 이미 미국 감리교 선교부에서 운영하는「한인기숙학교」가 있었다.
    이 학교는 하와이 각 지방에서 온 남학생 65명에게 기숙 편의를 제공하고 한국어를 가르쳤다.
    이승만은 1913년 9월 감리교 선교부의 와드먼 감리사로부터이 학교의 원장직을 인수받아 그 이름을「한인중앙학원(韓人中央學院)」이라 고치고 학제를 개편해 고등과.소학과.국어과및 한문과를 설치,영어등의 일반과목 외에 한글과 한문,그 리고 성서를 가르쳤다.이 학교에는 4~5명의 미국인과 3명의 한인 교사가 있었다. 이박사가 인수한 다음 전보다 명성이 높아진 이 학교에는 여러 섬에서 향학열에 불타는 여학생들이 몰려왔다.
    이들을 수용하고 교육하기 위해 이승만원장은 한인교포간에 모금캠페인을 벌인 끝에 1914년 7월29일「전적으로 한인들의 성금만으로」호놀룰루 부누이 지구에 이들을 수용할 수 있는 여학생기숙사를 마련하였다.
    이렇듯 모든 일이 순탄하게만 보였던 1915년 6월 이승만은 돌연 한인중앙학원 원장직을 사임했다.동시에 감리교에서도 탈퇴했다. 그가 이러한 결단을 내린 것은 무엇보다 1914년 초 와드먼의 후임으로 부임한 감리사 프라이와의 의견대립이 첨예화됐기 때문이었다.
    우선 프라이 감리사는 이승만이 학생들에게 주입코자 하는 민족주의적 교육내용(한국어와 한국사 교육)이 하와이領의 인종혼합정책에 배치되는 것으로 간주하고 이에 대해 비판적 입장을 취했다. 게다가 사무 인계과정에서 프라이는 이승만이 한인중앙학원 뿐만 아니라 한인감리교회 일에 깊이 관여하면서 이 기관들의 재정까지 관리하고 있다는 사실을 발견하고, 이승만에게 재정에서 손떼고 교육에만 주력할 것을 요구했다.
    이것은 물론 이승만의 권한축소를 예고하는 것이었다. 이에 반발한 이승만은 하와이 각 지방을 돌면서 동포들에게 한인 학교와 교회의「자립」을 강조하고 그들에게 재정적 협조를 호소했다. 그 결과 그는 1916년 정월까지 7천7백달러에 달하는 거금을 모금할 수 있었다.
    이에 앞서 그는 1915년 7월「대한인국민회」로부터 보조받아 3에이커의 대지를 구입할 수 있었다.
    이러한 지원을 바탕으로 교실을 장만한 그는 1916년 3월10일「여학생 기숙사」를 확장해 독립된 여학교,즉「한인여자성경학원(韓人女子聖經學院)」을 발족시킬 수 있었다(개교 당시 이 여자학원의 등록학생수는 73명).
    그 후 1918년 9월 이승만은 이 여자학원을「한인기독학원(韓人基督學院)」으로 개명하면서 감리교에서 완전히 분리된 남녀공학제의 민족적 교육기관으로 만들었다.그리고 한인여자성경학원의 부지와 국민회 소유의 엠마기지를 모두 매각해 호놀룰 루 가이무기지구에 9에이커의 지단을 확보,그곳에 교실을 짓고 교육을 실시했다. 그러나 이 학교는 이승만이 당초 구상했던 규모에는 미치지 못했다.

    학원을 확장하기 위해 이승만은 1921년 2월 가이무기 학교지단을 1만달러에 방매하고 새로이 갈리하이 계곡에 4천에이커나되는 지단을 매수,이곳을 교지로 삼고 여러가지 애로에도 불구하고 8만4천여달러에 달하는 예산을 책정하고 새 로운 교사를 마련하였다.
    한인기독학원이 설립되자 한인중앙학원의 많은 학생이 옮겨왔다.
    한인기독학원은 1928년까지 기숙사제도로 운영되었으며 주로 소학교 6년과정을 이수시켰다. 학생수는 매년 80~90명 정도였으며,10년동안 이 학교를 정식으로 졸업한 학생수는 1백50명이었다(김원용의『재미한인 50년사』참조). 

    이승만은 매일 있는 채플시간에 설교를 했는데 남학생에게는 「한국여자와 결혼할 것」,여학생에게는「한국남자와 결혼할 것」을 강조했다고 한다.
    그 후 교포 2세들간에 한국어와 한국문화에 대한 관심이 줄어들고,또 하와이령의 공립학교제도가 발달하면서 이 학원의 인기는 하락할 수밖에 없었다.
    1928년 이후 이 학원은 때론 고아기숙을 위주로 하는 등 역경을 겪으면서 1945년 해방될 때까지 그 명맥을 유지했다.
    1952년 하와이 한인이민 50주년을 맞은 현지 교민들은 이승만대통령의 뜻을 받들어 한인기독학원의 토지와 재산을 매각해 15만달러를 조성,인천의 용현벌에 인천(仁川)과 하와이(荷와伊)의 첫글자를 딴 이름인 인하공과대학(仁荷工科大學 )설립 기금으로 내놓았다.
    이로써 망명객 이박사가 독립운동의 일환으로 각고의 노력 끝에설립했던 한인기독학원의 전통이 국내의 인하대학교로 연면히 이어지게 되었다



    [출처: 중앙일보] <이승만과대한민국탄생>13.호놀룰루 정착


  14. 14. 하와이 한인 기독교회

    내용
    이박사는 친미(親美)외교노선을 고수했던 정치가로 널리 알려져있다. 그러나 그는 맹목적인 친미주의자는 아니었다.
    해방후 그가 미국의 대한(對韓)정책에 반대한 나머지 미군정의 최고책임자 하지 중장과 사사건건 충돌했던 일이라든가,6.25 전쟁때 미국이한국측의 주장을 무시하고 휴전을 성립시키려 하자 유엔군과 협의하지 않고 독단으로 반공포로를 석방한 사실 등은 너무나 유명하다. 미국에 대한 이러한 일련의 반골(反骨)적 행동 때문에 이박사는 종종 워싱턴 관가에서「골치 아 픈 반미(反美)주의자」로 백안시당했던 것이다.
    그런데 이승만이 콧대 높은 미국에 대해 자신의「오기」를 처음으로 드러내 보인 것은 하와이 망명시절 그가미국 감리교선교부에 반발해 독자적인 민족교회를 출범시킨 때였다. 이미 밝힌 대로 이승만은 1899년 한성감옥에서 기독교에 귀의했다. 그러나 그가 정작 기독교의 세례를 받은 것은 그로부터6년후 미국유학 초기다. 1905년 부활절(4월23일)에 그는 워싱턴 DC에서 가장 영향력이 있다고 소문난 장로 교 교회인커버넌트 장로교회의 햄린목사에게 세례를 받았던 것이다. 그렇지만 원래 감리교계 미션학교인 배재학당을 졸업한 탓으로 그후 그는 줄곧 감리교회에 적을 두고 감리교 교인으로 행세했다. 1912년서울YMCA의 일을 중단하고 미국으로 망명할 때도 그는 국제감리교대회의 한국 평신도대표 자격을 갖고 있었다.
    이러한 그의 교적(敎籍)배경 때문에 그는 1913년초 하와이에 정착했을 때 하와이 감리교선교부의 미국인 책임자들과 손잡고자신의 포부를 펼쳐 나가게 되었다.하와이지역 감리교선교부의 감리사 와드먼은 애당초 이승만에게 호감을 갖고 있 던 터라 이승만에게「한인기숙학교」의 교장직뿐만 아니라 감리교 하와이지방회의교육분과위원장직도 맡겨「한인감리교회」 일에 관여시켰다. 

    그러나 1914년 와드먼이 해임되고 그 후임으로 프라이가 부임하면서 사정은 달라졌다.프라이는 이승만에게 한인감리교회 일에서 손을 떼고 학교일에만 전념하기를 당부했기 때문이다.
    감리교선교부의 친일(親日)적 정책에 비판적이었던 이승만은 프라이 감독이 자신의 행동반경을 제약하는 태도를 나타내자 드디어이에 반발해 단호히 대응했다. 즉 그는 1915년6월 한인기숙학교의 교장직과 감리교지방회 교육분과위원장직을 내 놓았다.이로써그는 미국 감리교선교부와 완전히 결별해 버린 것이다. 고립무원(孤立無援)지경에 놓여 있던 망명객 이승만이 내린 이때의 결단은 오랫동안 정신적.물질적으로 자기생명을 지탱해 준 탯줄을 스스로끊는 격이라 웬만한 자신감과 용 기 없이는 불가능한 용단이었다고 볼 수 있다.
    감리교선교부의 울타리를 박차고 나온 이승만은「직업적 교역자」에 환멸을 느낀 나머지 한때 교회출석을 기피하고 혼자서 기도하기를 즐겼다. 그러나 얼마후 정신을 가다듬은 그는 각 지방 동포를 심방하면서 한인학교와 교회의 자립을 역설했다.
    그 결과 그의 자립사상을 지지하는 사람들은 릴리하에 있는「여학생기숙사」에 모여 따로 예배를 드리기 시작했고 1918년7월29일 호놀룰루에「신립교회」를 설립하기에 이르렀다. 그 후 이 집단은 1918년12월23일 평신도회를 열고 교회의 명칭을「한인기독교회」(The Korean Christian Church)로 바꾸면서 이승만이 중심이 된 새로운 민족교회가 탄생한 것이다. 1918년 발족한 한인기독교회는 어느 기성교파와도 관련이 없는 자치교회로 그 제도는 미국 회중(會衆)교회의 모범을 따른 점-즉 평신도 위주의 민주주의적 원칙을 따른 점-에 특색이 있었다.장로와 집사가 없는 이 교회에서의 치리(治理 )는「창립자」내지「선교부장」이라고 불린 이승만 중심의 이사원(理事院)에서 담당했다.
    한인기독교회에 속한 예배당은 호눌룰루 이외에 와히아와.힐로.파아아 등의 섬에 흩어져 있었고 1936년에는 미주 본토 로스앤젤레스에도 한인기독교회가 설립됐다.1938년 현재 한인기독교회의 세례교인수는 1천2백63명이었다.


    이 교회는 이승만이 주동이 되어 창립한 교회였기 때문에 자연히 그를 추종하는 교인들이 많이 모이게 되었다. 3.1운동 이후이승만의 정치적 위상이 높아지면서 이 교회의 지도자중 민찬호(閔燦鎬).장붕(張鵬)등 목사와 안현경(安玄卿). 이원순(李元淳).김유순 등 이사는 상해임시정부.대한인국민회,혹은 동지회의 핵심멤버로 임시대통령 이승만의 정치활동을 적극적으로 밀어주었다. 한인기독교회는 처음에는 일정한 예배당건물이 없이 출발했다.
    1922년11월 스쿨街에 자그마한 예배당을 마련했지만 이것 역시 1928년 예배당확장을 목적으로 방매(放賣)했기 때문에 그후 10년 동안「신흥국어학교」교실에서 예배를 드렸 다. 1938년4월24일에야 이 교회는 릴리하街에 서울의 광화문을 본뜬 커다란 예배당(건평 4천2백50평방척)을 낙성시킬 수 있었다.
    한인기독교회의 역사적 의의를 자리매김할 때 흔히 이승만이 자기이익 위주의 교회를 창립함으로써 하와이 한인 개신교신앙공동체를 분열시켰다고 지적하는 데 치중하는 경향이 있다.그러나 시각을 달리해 살펴보면 이 교회는 망명객 이승만이 스 스로 미국인선교부의 보호망에서 벗어나 한국인 자력으로 출범시킨 해외 최초의 민족교회였다는 점에서 한국개신교 역사상 특기할 만한 것이다. 

     


    [출처: 중앙일보] <이승만과대한민국탄생>14.하와이 한인 기독교회


  15. 15. 의동생 朴容萬

    내용
    천지간에 6대독자로 태어난 李박사는 애당초 고독한 인간이었다. 망명객으로서 하와이 땅을 밟았던 1913년,40세를 바라보는나이의 이승만에게는 부모처자 등 친족은 한사람도 없었다. 그러나그의 곁에는 자기의 가치를 알아주고 남들에게 자기를 치켜세워주는 지기(知己)한 사람이 있었으니 그가 바로 옥중동지(의동생)박용만(朴容萬:1881~1928)이었다. 李박사는 이 소중한 친구와의 우정을 오래 간직하지 못하고 급기야 1918년 박용만의숙적(宿敵)이 되고 말았다.
    李박사와 박용만간의 미묘한 애증관계를 논급한 종래의 글들에서는 두사람의 우정에 금이 간 원인을 외교독립노선을 고집했던 이승만이 무장독립노선을 내세운 박용만과 사사건건 대립, 그의 사업(성공)을 시기하고 방해한데서 찾으려한다. 그러나 이화장(梨花莊)에 있는 李박사의 앨범속에 이승만과 박용만간의 돈독했던 우정을 기념하는 사진이 유달리 많이 간직돼 있는 사실로 미루어 승만(형)이 용만(동생)을 구박했다는 종래의 견해는 재고돼야 한다고 생각한다. 앨범속에 이승만의 라이벌이었던 안창호(安昌浩).한길수(韓吉洙).이동휘(李東輝)등의 사진은 하나도 없다. 

    우선 박용만이 어떠한 인물이었는지를 살펴보자. 박용만은 강원도철원(鐵原)출신으로 일찍이 일본에 유학해 경응의숙(慶應義塾)에서 수학하다가 학업을 끝내지 못하고 귀국했다. 1904년에 보안회(保安會)멤버로 활약하던 끝에 한성감옥에 투옥 돼 이승만을 만나 그곳에서 결의형제(結義兄弟)가 됐다. 1905년에 출옥하자그는 승만(형)의 뒤를 따라 미국으로 건너가 숙부 박희병(朴羲秉=朴章鉉)이 정착한 콜로라도州의 덴버로 갔다.이때 그는 이승만의 외아들 태산(泰山.1906년 사망)을 미국까지 데려다 주는 심부름을 했다.
    덴버에서 만학으로 고등학교를 졸업한 박용만은 1908년 당시한국 유학생이 제일 많이 모여 살던 네브래스카州로 자리를 옮겨링컨市에 있는 네브래스카 주립대에 입학했다.
    이 대학에서 그는 정치학을 전공하는 한편 부전공으로 군사학을택해 일종의 ROTC과정도 이수했다.그는 1912년 8월 정치학 학사(學士)학위를 취득했다.
    이 대학에 재학중 박용만은 1910년 4월 네브래스카州 헤이스팅스市에 있는 헤이스팅스大 구내의 기숙사(링랜드館)에 한인 소년병학교(少年兵學校)를 개설하고 여름방학 기간을 이용해 한인학도들(30명 미만)을 교육.훈련시켰다.
    이어 그는 1911년 1년간 휴학하고 샌프란시스코에 있는「대한인국민회」의 기관지『신한민보(新韓民報)』의 주필로 기용돼 예리한 논봉을 휘둘렀다.
    이승만과 박용만은 유학시절 간간이 편지를 교환하면서 두어번 미국내에서 만났다. 용만(동생)이 학사학위를 받고 또 한인 소년병학교에서 제1회 졸업생(13명)을 배출하던 1913년 여름 승만(형)은 불원천리(不遠千里)헤이스팅스大를 방문 ,박용만과 졸업생들을 축하해 주었다.
    이 만남에서 두사람은 장차 하와이로 건너가 그곳을 한국독립운동의 근거지로 삼기로 합의했음에 틀림없다. 그 결과 박용만은 1912년 12월초,그리고 이승만은 석달후인 1913년 2월초에각각 앞서거니 뒤서거니 하와이에 도착했던 것이다 .
    하와이에 정착했을때 박용만의 주(主)직책은 하와이 국민회의 기관지『신한국보(新韓國報)』(나중에『國民報』로 개칭)의 주필이었다.그러나 그는 이 직책에 만족하지 않고 거창한 사업 한두가지에 착수했다.
    그중 하나가 바로 유명한「대조선독립군단(大朝鮮獨立軍團)」의 창건이다.
    박용만은 1913년 6월11일을 기해-호눌룰루市 동북방향 큰산너머-쿨라우 지방 아후이마누에 있는 파인애플 농장(1천3백60에이커)에 「대조선국민군단」이라는 독립군을 창설하고 두달뒤에는 이 군단 부속의 병학교(兵學校.속칭「산너머학 교」)막사와 군문(軍門)을 준공했다.
    이 병학교의 구성원은 주로 하와이로 이민 오기전 대한제국 군대에서 장교 혹은 사병으로 복무했던「광무군인」들이었으며, 그 학도수는 많을 경우 1백24명 정도였다. 이들의 대부분은 파인애플 농장의 노동자로 낮에는 10시간정도 농장에서 일하고 남는 시간에 훈련을 받는 둔전(屯田)식 교육을 받았다.
    교련기구로는 단총(短銃)39정,군도(軍刀)10개,나팔 12개,북 6개,목총 3백50정,그리고 교과서(영문)28종이 있었다. 이승만은 1914년 8월29일「대조선국민군단」의 병학교 막사.군문의 낙성식에 참석해「믿음」이라는 주제로 전도강연했다.이로써 미뤄볼때 승만(형)은 용만(동생)이 하는 사업을 되도록 밀어주려는 태도를 갖고 있었다고 말할 수 있다.
    따라서 1916년에 접어들면서 박용만의「대조선국민군단」이 실질적으로 해체된 원인은 우선적으로(일본의 요청에 따른)미국정부와 하와이 총독으로부터의「군단」해체 압력,파인애플 농장주의 군사훈련 반대,하와이 교포들의 재정능력 한계,외국 농장에서의 둔전식 군사훈련 실시의 무리,신문사 주필직과 군단장직을 겸임했던박용만의 지도력 한계 등에서 찾아야 마땅하다고 생각된다.
    이승만과 박용만은 다같이 다재다능(多才多能)한 인걸이었다. 그들 중 이승만이 한가지 일에 깊이 몰두하는 고슴도치(hedge-hog)형(型)의 노력가라면 박용만은 한꺼번에 두가지 이상의일을 해내려는 여우(fox)형의 야심가였다(벨린 의 『지도자 유형론』참조). 하와이 섬은「고슴도치」와「여우」가 함께 서식하기에는 너무나 좁았다.

     


    [출처: 중앙일보] <이승만과대한민국탄생>15.의동생 朴容萬 


  16. 16. 이승만과 3.1운동

    내용
    3.1운동은 이승만 박사의 생애에 남달리 중요한 의미를 지닌역사적 사건이었다. 이를 계기로 그가 일개의 망명객 교육가 입장에서 일약 임시정부 대통령으로 부상했기 때문이다. 그렇다면 그는 3.1운동을 전후한 시점에 어디에서 무엇을 하고 있었던가.
    1918년말 제1차 세계대전이 끝날 무렵 이승만은 호놀룰루에서「한인기독학원」일에 주력하고 있었다. 그는 세계대전을 마감하는강화회의에서 약소국의 독립문제가 거론될 것을 예상했다. 특히 그는 승전국 미국의 대통령이며 민족자결주의를 제창 한 은사(恩師)윌슨이 강화회의에서 주도적 역할을 담당하리라 판단하고 이 국제회의에 몸소 참석, 윌슨을 설득해 한국 독립문제를 해결해 보려고 마음먹었다.그는 자기의 계획을 1918년10월께 하와이를 방문한 여운홍(呂運弘)과 미국 선교사 샤록스등을 통해 국내 민족지도자들(송진우.함태영.양전백등)에게 알림으로써 그들이 적시(適時)에 자기의 외교에 호응하는 대중운동을 펼쳐줄 것을 기대했다. 이승만을 지지하는 하와이 교포들은 1918년11월 휴전이 성립되자 그에게 학원일을 접어두고 파리 강화회의에 한인대표로 참석할 것을 강력히 권했다.샌프란시스코에 본부를 둔 대한인국민회(大韓人國民會)에서도 1918년12월1일 이승만. 정한경(鄭翰景).민찬호(閔찬鎬)를 파리 강화회의 한인대표로 선출했다. 이승만은 자기의 임무를 수행하기 위해 1919년1월6일 호놀룰루를 출발,미주 본토로 향했다. 

    1월15일 샌프란시스코에 도착한 그는 로스앤젤레스에 들러 대한인국민회회장 안창호(安昌浩)를 만나 상의한 다음 미국 동부로발길을 재촉했다.그는 뉴욕을 거쳐 2월3일 서재필(徐載弼)이 사는 필라델피아에 당도했다.
    필라델피아에서 이승만은 서재필.정한경.장택상(張澤相).민규식(閔奎植)을 만나 독립운동 방략에 대해 기탄없는 의견교환을 했다. 서재필은 파리 강화회의 참석은 불가능할뿐 아니라 참석한다 해도 별 효과가 없을 것이라 못박고 그같은「헛수고 」대신-張. 閔씨등 부호의 협조와 이승만의 모금으로-50만달러의 기금을 조성, 영문잡지를 발간함으로써 장기적으로 미국내에서 한국에 유리한 여론을 조성하는 일에 힘을 모으자고 제안했다.

    이에 대해 이승만은 교포들이 자기를 파리 강화회의 대표로 뽑아준 이상 그들이 맡긴 사명을 끝마치기 전에 새로운 일에 착수할 수 없다고 단언하고 잡지발간 계획을 일단 보류하자고 말했다. 그 대신 그는 파리 외교를 뒷받침할 한인대회를 필라델피아에서소집,시위를 통해 한국인의 독립의지를 美국민에게 알리자고 했다.서재필은 이 제안을 받아들였다.
    필라델피아를 떠나 워싱턴에 자리잡은 이승만은 파리행 여권취득운동에 박차를 가하면서 잠시 귀국중인 윌슨대통령을 면담하려고 애썼다. 2월27일 그는 국무부를 방문해 국무장관 대리 폴크에게파리행 여권을 조속히 발급해줄 것을 요청했다.
    폴크는 대통령에게 품신한후 대답해 주겠노라고 약속했는데 윌슨대통령으로부터『이박사가 파리에 오는 것은 유감』이라는 내용의 회답을 받은 다음 3월5일 이승만에게 여권발급 불가 통고를 했다. 이보다 이틀전 이승만은 백악관 비서실장으로부터 윌슨대통령의 면담거절 통보를 받은 바 있었다.
    美정부의 이러한 냉대는 이승만이 윌슨家의 막역한 친구로서 윌슨대통령을 마음대로 움직일 수 있다는 신화를 여지없이 깨뜨리고말았다. 겹친 과로와 좌절감 때문에 2월초부터 피부병을 앓고 있던 이승만은 드디어 2월하순「워싱턴 요양원」에 입원해 거기에서 집무했다. 와병중인 이승만에게 2월25일 정한경이 찾아왔다.
    정한경은 대한인국민회측과의 협의를 거쳐『장차 완전한 독립 을 보장하는 조건아래 한국을 국제연맹의 위임통치하에 둠으로써 일본의 지배로부터 해방시켜달라』는 내용의「위임통치안」을 만들어 갖고 와 이를 윌슨을 통해 강화회의에 제출하자고 제의했다. 이승만은 이 안에 동의하고 정한경과 나란히 그 문서에 서명, 3월3일 백악관에 제출했다.
    3월10일은 궁지에 빠져있는 이승만에게 새 희망을 던져준 뜻깊은 날이었다. 그날 그는 서재필로부터 오랫동안 고대했던 소식,즉 국내에서 대규모 항일시위(3.1운동)가 터졌다는 낭보에 접했던 것이다.이 소식은 상하이에 있는 현순(玄楯) 목사가 3월9일 안창호에게 전보로 알렸고,안창호가 이를 서재필에게 통보함으로써 이승만에게 전달됐다.
    3.1운동 소식에 접한 이승만은 용기백배해 서재필과 더불어 필라델피아 한인대회 소집을 서둘렀다.
    그 결과 4월14일 미국 독립운동의 요람지 필라델피아 시내 소극장에서 약 1백50명의 대표가 참석한 가운데「한인대표자대회」(일명 한인 자유대회)가 열렸다.
    14일부터 16일까지 연3일 개최된 이 회의의 의장은 서재필이었다. ***워싱턴 자리 앉아 이승만은 이 회의에서「미국에 보내는 호소문」과「(노령)임시정부 지지문」등 주요 문건을 상정,통과시키는데

    앞장섰다. 회의의 피날레순서는 참가자들이 소극장에서부터 독립기념관까지 시가행진하는 것이었다.유서깊은「독립기념관」에 들어선 이승만 은 1776년 미국 초대대통령 워싱턴이 미국헌법에 서명할 때 사용했던 책상앞에 앉아 기념촬영을 했다.이어 그는「3.1독립선언서」를 낭독한 다음『대한공화국 만세!』와『미국만세!』를 선창했다.만세 삼창 소리가 독립기념관에 울려퍼지는 순간 이승만을 한동안 괴롭혔던 병마는 달아나고 이승만은 의기충천(意氣衝天)함을 느꼈다.
     

    [출처: 중앙일보] <이승만과대한민국탄생>16.이승만과 3.1운동

  17. 17. 대한공화국 대통령 이승만

    내용

    이승만(李承晩)박사는 3.1운동의 결과로 탄생한 한국 역사상최초의 민주정부 대통령이 되었다. 그가 대통령이 된 것은 자천(自薦)이 아니라 타천(他薦)에 의해서였고, 또 미국에 있는 교포들에 의해서가 아니라 원동(遠東:중국과 시베리아 )과 한국에 있는 동포들에 의해서였다. 그런데 그에게 처음부터「대통령」이라는칭호가 주어진 것은 아니었다. 상해임시정부가 그에게「대한민국임시정부 임시대통령」이라는 직함을 준 것은 1919년 9월이었는데 그는 그전부터 이미「대한공화국 대통 령」행세를 하고 있었다. 이 어찌된 영문인가.
    이승만은 대한제국 말기에 정치범으로 6년간 옥고를 치렀고, 또 윌슨대통령이 총장이었던 프린스턴大에서 국제정치학 분야 박사학위를 취득했기 때문에 1910년대 한국 지도자들간에 명성이 가장높았다. 따라서 3.1운동후 국내외 각지에서 임시정부들이 속속조직. 선포되자 그는 새로 구성된 정부들의 각료(閣僚)명단에 실무수반(首班)으로 거명.부각되었다. 즉 그는 3월21일에 블라디보스토크의 대한국민의회가 선포한 소위 노령(露領)임시정부의 내각명단에「국무급 외무총장(국무경) 」으로 추대되었고, 뒤이어 4월11일에 상해에서 발족된 상해임시정부에서는「국무총리」로 지명되었다. 그 후 주가가 더욱 올라간 그는 4월23일 서울에서 선포된 한성(漢城)정부에서「집정관총재(執政官總裁)」라는 최고 직위를 부여받았다.

    이 무렵 이승만은 미국 필라델피아에 머무르고 있었다. 그는 노령임시정부가 자기를「국무급 외무총장」으로 임명했다는 사실을 4월5일 현지 신문을 읽고서야 알았다.
    상해임시정부가 자기를「국무총리」로 임명한 사실은 4월15일 현순(玄循)의 정보를 통해,그리고 한성정부가「집정관총재」로 임명한 사실은 5월말 워싱턴에 도착한 신흥우(申興雨)를 통해 알게 되었다.
    이승만은 자기를 높이 사준 여러 임시정부들중에 조국의 수도(首都)에서 국민대회라는 적법절차를 거쳐 「정식으로」수립,선포된 한성정부를 정통성있는 정부로 간주했으며, 이 정부가 자기를「집정관총재」로 뽑아준 것을 몹시 고마워했다. 그렇지만 그는 4월23일 워싱턴에 활동본부를 설치하고 자기의 직무를 개시함에 즈음해 모든 임시정부를 영어로『Republic of Korea』라고 부르고 6월부터 자기 자신을『President of the Republic of Korea』 라고 칭했다. 즉 그는「한성정부 집정관총재」가 아니라「대한공화국(혹은 대한민국:대한민주국)대통령」으로 행세한 것이다. 상해임시정부측에서는 이승만의 「대통령」직함 사용을 잠칭이라 간주하고 이에 대해 항의한 일이 있지만 이승만이 계속 이를 고집하자 부득이 양보, 9월6일에 개헌(改憲)절차를 거쳐「임시대통령」제를 도입하면서 그의「대통령」직함을 추인해 주었다. 그러면 이승만은「대한공화국 대통령」으로서 어떤 일을 했는가.
    무엇보다도 그는 자기가 신생공화국의 「대통령」이 되었다는 사실을 미국(특히 하와이)에 있는 한인교포들에게 널리 알리고 그들로부터 적극적인 지원을 얻어내는 것이 필수적이라고 판단,한인교포 상대의 홍보에 신경을 썼다.
    이러한 홍보노력의 일환으로 그는 자가선전용(自家宣傳用)의 우편엽서 내지 리본등을 만들어 교포들로 하여금 이를 활용토록 권장했다. 그리고 호놀룰루의 자기가 발간하는 태평양잡지사를 통해-3.1운동을 주제로 한-『대한독립혈전긔(大韓獨立血 戰記)』라는 책자를 출판(8월15일)하도록 주선하면서 그 책 첫머리에「대한민주국 대통령 이승만」의 사진을 싣고 또「대통령 선언서」(7월4일부)라는 일종의 교서(敎書)를 포함시켜 자기 홍보를 도모했다. 이렇게 한인교포간의 지지기반을 다진 그는 자신의 장점을가장 잘 살릴 수 있는 독립운동, 즉 미국을 위시한 강대국 정부와 파리강화회의를 겨냥한 선전.외교활동에 주력했다. 그는 「대한공화국 대통령」의 명의로 6월14일 美.英.佛.伊등 정부에,그리고 6월27일에는 파리강화회의 의장 클레망소에게 각각 한국에「완벽한 자율적 민주정부」가 탄생했다는 사실과 자기가 그 정부의 「대통령」으로 선출되었다는 사실을 통고했다.6월18일에 그는 일왕(日王) 앞으로 국서를 발송,한 국에 적법적인 「대한공화국」이 수립되었으므로 일본이 새로운 한국정부를 인정하고 한반도에서 모든 일본군대(외교관을 제외한)와 관리들을 철수시킬 것을 촉구했다.
    이 국서는 이승만의 비서 임병직(林炳稷)을 통해 워싱턴 주재일본대사관에 전달됐다.이승만이 일왕을 상대로 이러한 외교를 벌인 것은 앞서 한국에서 한성정부를 발족시킨 국민대회에서「일본정부에 향하야 對조선통치권의 철거와 군비(軍備)의 철퇴를 요구할사」라는 조항을 대회 결의사항의 하나로 채택한 일이 있었기 때문이다. ***8개월간 美순방 이승만은 7월17일 워싱턴에 「대한공화국」외교업무를 관장할 공사관(얼마후「구미위원부」로 불림)사무실을 확보하고 유급.전문직원들에게 본격적 외교사무를 맡겼다. 그리고 자기자신은 10월초부터 8개월간에 걸쳐 미국의 주요도시를 순방,교포 유지들을 만나 유대를 굳히면서 미국인 교회.YMCA.대학및 상공회의소를 방문해 일본의 만행을 규탄하고 「대한공화국」지지를 호소하는 강연을 하는데 피치를 올렸다.

     


    [출처: 중앙일보] <이승만과대한민국탄생>17.대한공화국 대통령 이승만 


  18. 18. 이승만의 上海방문 전말

    내용
    이승만(李承晩)박사는 약 6년간(1919~1925)상해임시정부의 「임시대통령」직을 맡고 있었다. 그러나 막상 그가 상해에서 집무한 기간은 6개월(1920년12월~1921년5월)에 불과했다. 그가 어떻게 상해를 왕복했는지의 전말은 아직 까지 잘 알려지지 않은 미스터리다. 다행히 이화장(梨花莊)에는 李박사 자신이남긴 상해 방문기록이 있다. 이 미공개 자료를 근거로 그의 상해방문 과정을 추적해보기로 하자.
    이승만 임시대통령은 1920년 여름 워싱턴에 있을 때 상해방문을 결심했다.그러나 그가 미국에서 상해까지 여행한다는 것은 결코 용이한 일이 아니었다. 

    일제(日帝)가 자기 머리에 30만달러의 현상금을 걸고 납치 또는 암살을 기도하고 있었고 미국이나 중국정부가 그에게 여권과비자를 내주려 하지 않았기 때문이다.결국 이승만은 불법 밀항(密航)을 감행하지 않으면 안됐다.
    이승만이 상해밀항을 준비하기 위해 호놀룰루에 도착한 것은 6월29일, 그 후 10월에 그는 워싱턴에 있던 자기의 비서 임병직(林炳稷)과 상해임시정부의 학무총장 김규식(金奎植)및 군무총장노백린(盧伯麟)등을 호놀룰루로 불러모아 다 함께 상해로 떠날 궁리를 했다. 그러나 네사람이 함께 행동하는 것이 위험천만이라고 판단한 이승만은 원래의 계획을 바꾸어 임병직만을 데리고 먼저 출발하기로 결정했다.
    이승만과 임병직은 호놀룰루市에서 장의사(葬儀社)를 경영하는 유지(有志) 보스윅의 집에 따로 칩거하면서 보스윅이 적당한 배편을 잡아줄 때까지 기다렸다. 보스윅은 11월16일 일본을 경유하지 않고 상해로 직행하는 운송선 웨스트 히카號의 2등항해사를 매수해 이 두사람을 남몰래 승선시켜 주었다.
    중국옷으로 변장한 이승만과 임병직은 웨스트 히카號의 밑바닥 선창(船倉)에 몸을 숨겼다.
    그들은 중국인 시체를 담은 관(棺)이 실린,통풍장치가 전혀 없는 철제창고 속에서 하룻밤을 꼬박 지새운 다음 배가 하와이 영해를 벗어난 다음날에 야 갑판위로 나왔다. 뒤늦게 밀항자를 발견한 이 배의 선장은 다행히 그들의 밀항을 눈감아 주었다. 이승만은 20여일간의 지루한 항해를 한시(漢詩) 7수(首)를 지으면서 소일했다.
    이승만과 임병직은 12월5일 오전10시 목적지 상해에 도착했다. 선장의 특별배려로 상해부두에 검사없이 상륙한 그들은 인력거를 타고 중국인 거리로 직행, 맹연관(孟淵館)에 투숙했다. 여기서 이승만은 미리 연락해둔 자기의 심복(임시정부 의 정원 의원)장붕(張鵬)에게 편지로 상해도착 사실을 알렸다. 이승만은 이틀 뒤에 나타난 장붕으로부터 현지사정을 브리핑 받고나서 임시정부에 자신의 상해도착 사실을 통보했다.
    상해임정측에서는 이승만을 상해의 「벌링턴호텔」로 옮겨 모셨다. 그러나 여기서도 신변의 불안을 느낀 이승만은 여운형(呂運亨)의 소개로 프랑스 조계(租界)내 徐家匯路 3번지에 위치한 미국인 안식교 선교사 크로푸트목사의 집으로 거처를 옮겼다. 이승만은 1920년 12월12일부터 1921년 5월28일까지 줄곧 크로푸트 목사집에서 기거했다.
    이승만이 임시대통령으로서 임정 청사를 방문해 직원들을 접견한것은 12월13일. 그가 공개적으로 자신의 모습을 드러낸 것은 12월28일 상해교민단이 베푼 환영회에서였다.
    그는 1921년 1월1일 신년축하식을 계기로 임시대통령의 공무를 집행하기 시작했다.
    이승만 임시대통령에게 대정략(大政略)과 거액의 독립운동 자금(資金)을 기대했던 상해 임정의 정객들은 그에게서 그런 것을 발견하지 못하고 적이 실망했다. 이들은 이승만이 3.1운동 발발전후에 윌슨 대통령에게 한국을 국제연맹의 위임통치( 委任統治)아래 둘 것을 청원했던 사실 등을 들추어내어 그를 비난.공격했다.사 면초가(四面楚歌)에 처한 이승만은 시종 수동적 자세로 정국을 수습하려 했으나 여의치 못했다.
    급기야 이동휘.안창호.김규식.남형우 등 거물급 지도자들이 임정을 이탈하자 이승만은 신규식.이동녕.이시영.노백린.손정도 등으로 새 국무원을 구성해 간신히 위기국면을 넘겼다. 5월17일 그는『외교상 긴급과 재정상 절박』때문에 부득이 상 해를 떠난다는 고별교서를 임시의정원에 남기고 자취를 감추었다.
    상해를 떠날 때도 이승만은 불법적 방법으로 배표를 구입하고 몰래 승선해야 하는 과정을 되풀이해야만 했다.
    하와이까지의 배표는 상해에 있는 친한(親韓)미국인 선교사 피치박사가 구득해주었다. 이승만은 일본인 첩자들을 따돌리기 위해 5월 19일 상해 근처의 우쑹(吳淞)항으로 떠났다가 닷새후에 다시 크로푸트 목사댁으로 돌아와 쑤저우(蘇州)를 관광하며 5월28일까지 쉬었다.
    그가 탑승한 마닐라行 기선 콜럼비아號가 상해항을 출항한 것은5월29일 오전 5시.이승만이 천신 만고(千辛萬苦)끝에 호놀룰루항에 도착한 것은 이로부터 한달뒤인 6월29일 오전8시였다.
    상해체류기간중 이승만은 틈을 내 3월5~10일에는 장붕과 함께 난징(南京)을, 3월25~27일에는 크로푸트 부처와 함께 자딩(嘉定)縣 류허(劉河)를, 그리고 5월24~25일에는 크로푸트부처및 신익희(申翼熙)와 함께 쑤저우를 관광했다 .

     


    [출처: 중앙일보] <이승만과대한민국탄생>18.이승만의 上海방문 전말 


  19. 19. 歐美위원부 발족

    내용
    이승만(李承晩)은 미국의 수도 워싱턴 DC를 근거로 외교 독립운동을 했다. 그는 워싱턴에 설치한 자신의 활동본부를 「한국위원회」라 칭했다.「한국위원회」는 3.1운동때부터 해방 이후까지 간헐적으로 개설되다 정부수립후 주미(駐美)대사관 으로 바뀌었다. 이승만이 임시정부의 「집정관총재」내지 「임시대통령」직을 맡았던 1919년부터 1920년대 중반까지 이 위원회는 「구미위원부」라 불렸다.임정 최고지도자였던 이승만은「구미위원부」를 통해 어떤 일을 했던가.
    3.1운동후 「집정관총재」로 추대,임명된 이승만은 1919년 5월초 워싱턴에 「한국위원회」 일명 「집정관총재 사무실」을 개설했다. 그는 이 무렵 필라델피아에 「한국홍보국」과 「한인친우회」를 만들어 홍보활동을 펴고 있던 서재필(徐載弼)과 제휴, 독립운동을 본격화했다. 6월에 접어들어 파리강화회의가 소득없이 폐막되자 이승만은 파리에서 활약하던 김규식(金奎植)을 워싱턴으로 초청했다.김규식이 워싱턴에 도착하자 이승만은 8월25일을 기해 「집정관총재」직권으로 「구미위원부」를 발족시키고 김규식을그 위원장으로 임명했다(일년남짓후 玄楯이 대리). 이로써 교육 및 종교 배경이 같은 미주(美洲)의 3대 독립 운동가들이 함께 힘을 모을 수 있는 체제가 마련된 셈이다.
    이승만은 미국에서 교육받은 엘리트 청년들을 구미위원부 위원으로 기용했다. 그의 심복 정한경(鄭翰景), 대한인국민회의 대표 이대위(李大爲),그리고 하와이 국민회의 대표 송헌주(宋憲澍)가 바로 그들이다. 이들 외에 미국인 변호사 돌프가 위 원부의 법률고문으로,그 리고 김노디와 매이본 두 여성이 사무원으로 추가 채용되었다. 이승만은 위원부의 당연직 위원으로 위원부 일을 총괄.감독하는 몫을 맡았다.
    구미위원부 성립후 이승만이 1차적으로 착수한 일은 독립운동자금을 풍족히 마련하는 것이었다.
    그는 종전과 같이 교포들의 애국금과 인구세 그리고 국내에서 비밀리에 송금되어온 의연금 등만으로는 독립운동을 제대로 추진할수 없다고 판단,「대한민국」명의의 공채(公債)를 발행해 필요한 자금을 조달한다는 기발한 착상을 했다.
    이승만은 9월1일부터 김규식과 공동명의로 만들어진 공채표(公債票)를 발매했다. 공채표는 10,25,50,1백,5백달러 등 5種이었고 연리(年利)6%에 미국이 한국정부를 승인한 1년뒤에상환(償還)한다는 조건부였다.
    위원부는 미주와 하와이는 물론 멕시코.쿠바.칠레.캐나다 등지에 있는 교포와 화교(華僑)들에게 공채표를 팔아 1921년까지무려 8만5천8백55달러의 자금을 마련할 수 있었다.
    이 금액은(1921년 기준)위원부 총수입의 약65%에 해당하는 것으로 당시 해외 독립운동단체가 갹금한 독립운동자금 중 최고액이었다.
    이렇게 모은 자금으로 구미위원부는 어떠한 일을 했는가.우선 상해임정에 매달 1천달러 이상의 자금을 송금해 임정의 명맥을 보존하는데 일조(一助)했다.
    이와 비슷한 액수의 돈을 서재필과 황기환(黃玘煥)에게 보내 그들이 필라델피아와 파리에서 각각 발간하는 영문 및 불문 월간잡지『한국평론』과『자유한국』,그리고 다른 많은 독립운동 관련 저서.팸플릿 출판을 지원했다.
    구미위원부는 미국내 21개 도시와 런던.파리 등 유럽의 주요도시에 「한인친우회」를 조직, 그 활동을 지원함으로써 2만5천명의 회원을 확보했다. 미국인 헐버트교수와 벡목사 등 위원부의 「선전원」은 이들 도시에서 순회강연을 했다.
    구미위원부가 치중한 사업중 하나는 미국의회 의원들에게 접근,상하 양원에서 한국 독립문제를 토의케 하는 것이었다.
    그 결과 1919년 후반부터 미국의회에서 한국문제가 심심찮게거론되었다. 급기야 1920년3월17일에는 상원(上院)본회의에 아일랜드 독립지지안과 함께 한국독립승인안이 상정되어 표결에 부쳐졌는데 아일랜드案은 38대 36으로 가결되었지 만 한국안은 애석하게도 34대 46으로 부결되었다.
    구미위원부가 추진한 최종. 최대의 사업은 1921년11월부터 1922년2월까지 워싱턴에서 개최된 군축회의(일명「태평양회의」)에 한국독립문제를 제기하는 것이었다.
    구미위원부는 상해임정.국내 각종단체및 뉴욕 유학생단체(공동회)등의 후원으로 이 회의에 이승만.서재필.정한경.돌프.토머스로구성된 대표단을 파견,한국대표에게 발언권을 주거나 본회의에서 한국문제를 정식으로 다루어 줄 것을 요구했다.
    ***끈질긴 설득 실패 그러나 회의 주도국인 미국.영국.프랑스.일본등 제국주의 열강이 이 요구를 묵살함으로써 이승만 등의 노력은 수포로 돌아갔다.
    워싱턴 군축회의의 폐막을 고비로 서재필은 독립운동 일선에서 물러나 본업인 의업(醫業)으로 복귀했다. 이에 앞서 1920년10월 워싱턴을 등지고 상해로 떠난 김규식은 1922년1월 모스크바에서 열린 코민테른 주최 「극동노력자회의」에 참석,미국등「흡혈귀」국가들을 비판하는데 앞장섰다. 거푸 고배(苦杯)를 마신 이승만은 구미위원부 사무실을 축소,정리한 다음 하와이로 돌아가 후일을 기약했다.지칠대로 지쳐있었지만 그는 나름의 독립노선을 포기하지 않았다.



    [출처: 중앙일보] <이승만과대한민국탄생>19.歐美위원부 발족


  20. 20. 주변의 여인들

    내용
    얼핏보아 이승만(李承晩)박사는 여복(女福)이 없는 사람이었다. 그는 초혼 후 6년간 감옥살이를 했고 출옥하자 5년 이상 미국에 유학,독신생활을 했다. 1912년에 첫부인 박승선과 헤어진 그는 1934년 프란체스카 돈너여사와 재혼할 때까 지 20여년간 하와이에서 홀아비생활을 했다. 그렇다면 과연 그는 외로웠는가. 하와이의 이승만은 결코 외롭지 않았다. 그의 주위에는 미남인「박사」홀아비를 은근히「사모」하는 여성들이 많이 있었기 때문이다. 이들 대부분은「사진결혼」으로 하와이에 건너와 가정생활에 만족을 느끼지 못하는「똑똑한」여성들로서 하와이 여러 섬에 산재한 한인교회 및「부인구제회」라는 단체를 통해 이승만의 정치자금을 거두는 일 등에 앞장섰다.
    이들 외에 이승만을 그림자같이 따라다니며 뒷바라지를 해주는 인텔리 여성이 하나 있었다.
    그녀의 이름은 노디(김해)김(Nodie Kimhaikim)양…나중의 손노디(Mrs. Nodie Sohn)여사. 원명이 김혜숙인 그녀는 황해도 곡산출신으로 여덟살 때(1905년 5월)부모를 따라 하와이로 이민갔다.  하와이 생활에 적응하지 못한 아버지 김윤종씨가 만주로 훌쩍 떠나자 그녀는 홀로 남은 어머니를 모시고 오빠.누이동생과 더불어 어렵사리 자라났다.
    이승만이 호놀룰루에 정착한지 2년째인 1915년 그곳의 카후마누 학교를 졸업한 그녀는 이승만의 추천으로 美본토로 건너가 오하이오州의 우스터 고등학교에 입학했다. 졸업후 그녀는 오하이오州의 명문 오버린 대학에 진학, 1922년 역사.정치학 분야의학사학위를 취득했다.
    대학 재학시절 필라델피아「한인대표자대회」(1919년4월)에 참석,열변을 토해 각광을 받은 바 있는 그녀는 대학졸업 후 하와이로 돌아가 워싱턴에 머무르고 있는 이승만을 대신해「한인기독학원」원장직을 맡아 일했다.
    동시에 그녀는 다른 親이승만계 단체들,예컨대「한인기독교회」「동지회」「부인구제회」「한미친선회」「한미상담회」등의 이사 내지 회장직을 맡아 이승만의 독립운동을 적극 후원했다.
    이러한 공로로 그녀는 정부수립후 이승만대통령의 초청으로 한국에 와 53년11월부터 55년2월까지 외자구매처장(外資購買處長)직을 맡아 일했으며 그후 58년 하와이로 돌아갈 때까지 적십자사(赤十字社)부총재.인하대학교 이사(理事)직등을 역임했다.
    노디 김이 하와이 망명객 이승만을 이토록 오래 가까이서 보필하다 보니 두사람간의 관계에 대해 주위에서 쑥덕공론이 무성했다. 그녀는 35년(즉 이승만이 프란체스카 돈너와 결혼한 다음해)에 호놀룰루의 상처(喪妻)한 교포실업가 손승운(Syung Woon Peter Sohn)씨와 결혼했는데 그 당시 그녀에게 딸려있던 만8세의 딸 위니프레드 李(Winifred Lee:일명 이보경)의 친부(親父)가 누구냐가 「뜬소문」의 핵심이었다.
    이승만을 헐뜯는 쪽에서는 위니 프레드가 이승만의 딸이라고 의심한다. 그러나 위니프레드 남바(Mrs.Winifred LeeNamba)여사가 집필한『손노디 약전(略傳)』에 따르면 노디 김은 27년에 이병원(Pyeung Won Lee)이라는 사업가와 잠시 결혼한 일이 있는데 이 때 이씨에게서 얻은 딸이 바로 위니프레드라는 것이다.
    한마디로 위니프레드의 친부는 이(Rhee)승만이 아니라 이(Lee)병원이라는 주장이다.
    노디 김 외에 미국 망명시절의 이승만에게 접근한 한국여성으로서는 임영신(任永信)을 손꼽을 수 있다. 전라도 금산태생으로 3.1운동 때 전주에서 만세시위를 주도, 일제 감옥에서 6개월간의 영어(囹圄)생활을 했던 그녀는 일본으로 건너가 히로시마(廣島)고등여학교를 졸업했다.
    귀국후 그녀는(공주)영명학교와 이화학당에서 교편을 잡았다가 1923년말 유학을 위해 미국으로 건너갔다.
    출국때 그녀는 유태영(柳泰永.柳泰夏의 형)의 요청으로 관동대진재(關東大震災)때 일제가 한국인을 학살하는 장면을 담은 사진첩을 몰래 숨겨가지고 샌프란시스코에 도착,마침 그곳을 방문중인 이승만에게 전달했다.
    이를 계기로 두사람은 서로 믿고 아끼는 동지가 되었다.
    임영신은 그후 로스앤젤레스에 있는 남가주대학교에 입학,학부와대학원과정을 마치고 1931년 신학(神學)석사학위를 취득했다.
    임영신의 전기에 따르면 그녀는 졸업후 귀국에 앞서 워싱턴을 방문했고 이때 그곳 한인교회의 이순길(李淳吉)장로(세계적으로 유명한 수영선수 세미 李의 아버지)를 통해 간접적으로 이승만의구혼(求婚)을 받았다. 임영신은 이 문제를 가지고 십여일간 번민했다. ***求婚받고 고민도 오빠들과 친구들에게 상의한 끝에 그녀는 미혼의 젊은 나이로 결혼 전력(前歷)이 있는 50대의「노인」과 결혼하는 것이 환영할 만한 일이 아니라는 결론에 도달,모처럼의 청혼을 완곡히 거절했다.
    그러나 여전히 이승만을 흠모한 그녀는 이때부터…이승만의 이름에서 딴…승당(承堂)이라는 아호(雅號)를 지어 애용했다.
    해방후 이승만이 단신 귀국하자 그녀는 프란체스카 여사가 서울에 도착할 때(1946년3월25일)까지 윤치영(尹致瑛)내외와 함께 돈암장. 마포장에서 이승만의 비서역을 충실히 담당했다.
    그 후 그녀는 이승만의 추천으로 민주의원(民主議院)의 유엔전권대사로 미국에 건너가 눈부신 외교를 벌인 끝에 정부 수립후 초대 상공부장관으로 기용됐다.


    [출처: 중앙일보] <이승만과대한민국탄생>20.주변의 여인들


  21. 21. 유럽외교와 관광

    내용

    방랑벽이 심했던 아버지의 영향탓이었는지 이박사는 여행을 몹시즐겼다. 1930년대까지 그는 태평양을 세번,그리고 대서양을 한번 횡단했고 또 기차로 시베리아를 통과한 일도 있다. 그는 미국은 물론 일본.중국.필리핀등 아시아 여러나라와 과테말라.엘살바도르.니콰라과.쿠바등 중남미 제국의 주요도시를 두루 돌아본 경험이 있다. 그러나 그때까지 세계외교 및 관광산업의 중심지인 유럽에는 깊숙이 발을 들여놓지 못하고 있었다. 1933년초에야 그는스위스 제네바에서 열린 국제연맹( 國際聯盟)회의에 참관함으로써「하와이 촌티」를 벗었다.
    이승만이 제네바를 찾아가게된 것은 1931년9월부터 개시된 일본군의 만주(滿洲)침략을 규탄하는 국제회의가 1933년초에 국제연맹본부에서 열릴 예정이었기 때문이다. 그는 이 회의야말로 한국독립문제를 다시 한번 세계여론에 호소할 수 있 는 절호의 찬스라고 판단, 제네바행을 서둘렀다. 그는 美국무장관 스팀슨이 서명한 「외교관 여권」을 얻어 1932년12월23일 뉴욕을 떠났다. 1933년1월4일 제네바에 도착한 그는 「호텔 드 루시」에 여장을 풀고 파리의 「한국대표부」에서 일하고 있던 서영해(徐嶺海)의 도움을 받아 국제연맹회의에 참석한 중국대표단(顔惠慶.郭泰祺.顧維鈞.胡世澤)과 제휴, 그들과 함께 일본의 대륙침략을 지탄.공격하는 외교활동을 폈다. 이 때 이승만이 추구한 목표는 국제연맹으로 하여금 대한민국임시정부를 승인케해 그 회원권을 획득하는 것이었다.그 러나 중국을 위시한 각국 대표들이 이 회의에서 한국문제를 본격적으로 제기하기를 꺼렸기 때문에 이승만은 일제가 급조한 만주국(滿洲國)의 괴뢰성을 폭로하고 만주에 사는 「1백만」한인의 자율권을 강조하는데 초점을 맞춘 외교를 폈다. 2월8일 그는 한국인의 주장을 담은 공한(公翰)을 국제연맹 회원국대표들과 세계 주요언론사 기자들에게 배포했다. 제네바에서 그는 세계 굴지의 외교관 및 언론인과 폭넓게 교제하면서 동양평화의 담보로 한국독립의 중요성을 역설했다. 이승만의 이같은 개인외교는 2월24일 국제연맹 본회의에서 일본의 만주침략을 규탄한 내용의 「리튼 보고서」를 채택하고 이어 일본이 국제연맹을 탈퇴케 하는데 간접적으로 기여했다.

    일본의 국제연맹 탈퇴후 이승만은 제네바 주재 미국총영사(길버트)및 중국 상주대표(胡世澤)와 만나 앞으로 미국.중국.한국이소련과 합세해 일본의 대륙팽창을 응징하자는 복안을 제시, 그들의 찬성을 얻었다. 그는 이 4국 항일연대안(抗日連 帶案)을 구현하기 위해 파리에서 러시아 입국비자를 얻고(6월27일)빈으로 향했다. 빈에 도착한 그는 중국대리공사(董德乾)의 소개로 소련공사 페테루스키를 만나 자신의 구상을 토로했다. 페테루스키는 이승만의 계획에 적극 찬성,본국 정부에 주선을 약속했다.
    이승만은 원대한 포부를 품고 7월19일 오전9시30분 모스크바에 도착해 크렘린宮 건너편「뉴 모스코 호텔」에 투숙했다. 그러나 그날 저녁 그는 뜻밖에 소련 외무부가 보낸 사자(使者)로부터 출국명령을 받았다. 러시아 외무부는 이승만에게 발급한 비자가「착오」였다고 하면서 사과표시와 함께 퇴거를 요구했다. 소련 외무부가 갑자기 이러한 행동을 취한 이유는 당시 소련으로부터 (만주)동청철도(東淸鐵道)를 매입하려고 모스크바에 도착해 있던 일본협상단이 이승만의 밀행을 탐지하고 그의 추출을 요구했기 때문이었다. 이승만은 7월20일 오후11시-즉 도착후 37시간30분만-에 모스크바를 황급히 떠났다. 이로써 그가 구상했던 미.중.소.한 4국의 항일연대안은 탁상공론(卓上空論)으로 끝났다.
    제네바.모스크바등지에서 눈부신 독립외교를 펼치던 이승만은 틈틈이 짬을 내 유럽의 주요 도시들을 역방, 명승지와 고적(古蹟)을 관광했다. 제네바에 머무를때 그는 파리와 런던을 방문, 그곳의 역사유적을 관광했다. 모스크바를 다녀올때 두번 빈 을 방문해 빈 근처의 명승지와 고적을 둘러보았고, 또 부다페스트도 관광했다.
    구라파를 떠나 미국으로 돌아가는 길에 그는 이탈리아로 여행해 밀라노.프로방스.로마.제노바.니스 그리고 모나코 등지를 두루 유람했다. 유럽 체재때 이승만은 20 여년전 서울에서 가르쳤던 제자 이한호(李漢浩)와 상봉하는 행운을 얻어 그의 안내로 스위스의 명승지를 구석구석 유람할 수 있었다.
    ***제자 이한호와 극적상봉
    세계적 하키선수로 스위스 여성과 결혼한 이한호는 취리히에서 유도(柔道)사범으로 생계를 이어가고있었다. 3월초에 독일어신문을 통해 이승만의 외교활동을 알게 된 그는 자기 동서인 건축가 뮐러 부부와 함께 이승만을 극진히 모셨다. 이한호를 만나기전에 이승만은 스위스 로잔대학을 방문, 그곳에 유학하고 있는 미국 여학생 메리암을 찾아내 로잔 근교의 호반에서 산책을 즐긴 일이 있다. 이승만은 메리암과 그의 친구 브라운을 2월21일 제네바로 초청, 그들과 함께 국제연맹 본회의개막식을 참관했다. 4월초에 그들은 몽트뢰 근처「로셰 드 나이」에서 개최된 춘계 스키경기대회를 같이 구경하기로 했다. 이승만이 장차 자신의 배우자가 될 프란체스카 도너를 「호텔 드 루시」에서 처음 만난 것은 그가 메리암을 두번째로 만나고 헤어졌던 2월21일 저녁이었다.

     


    [출처: 중앙일보] <이승만과대한민국탄생>21.유럽외교와 관광 


  22. 22. 프란체스카와 결혼

    내용

    이승만(李承晩)박사는 한국 근대사상 처음으로 국제결혼을 한 국가최고지도자였다. 그의 배필은 오스트리아 태생의 프란체스카 도너양. 대한민국의초대「퍼스트 레이디」로서 민비(閔妃:명성황후)에 버금가는 영향력을 발휘하게 된 이 벽안(碧眼)의 여인은 과연 어떤 인물이며 李박사는 어떻게 그녀와 결혼하게 되었는가. 그 사연을「이승만 일기」를 중심으로 살펴보기로 하자.
    프란체스카 도너양은 오스트리아 수도 빈市 교외 인서스도르프에서 1900년 6월15일 소다수 공장을 운영하는 상인 루돌프 도너와 그의 부인 프란체스카 여사의 셋째이며 막내딸로 태어났다.

    순수한 게르만 혈통을 자부하는 그녀의 가정은 가톨릭을 믿는 보수 중산층이었다. 프란체스카의 애명은「파니」, 그리고 가톨릭 영세명은「마리아」였다. 아들이 없었던 아버지 루돌프는 수학과 외국어에 남다른 재능을 보인 파니로 하여금 가업을 잇게하기 위해파니를 상업학교에 진학시켰다. 상업학교 졸업후 한때 농산물 중앙관리소에서 일했던 파니는 스코틀랜드로 유학, 영어를 익혀 영어통역관 국제자격증을 따냈다.
    모국어가 독일어인데다 영어와 불어에 능통했으며 속기(速記)와 타자(打字)의 특기보유자였던 파니는 국제무대에서 활약하던 망명 정객 이승만의 비서로서는 안성맞춤이었다. 그녀에게 한가지 흠이 있었다면 그것은 그녀가 20대초반에 결혼하여 실패한 경험이 있다는 사실이었다. 그러나 이승만에게도 이러한 하자가 있었던 만큼 이것은 두사람의 결합에 결격사항이 될 수 없었다.
    널리 알려진 대로 파니가 이승만을 처음으로 「랑데부」한 것은1933년 2월21일 제네바의 호텔 드 륏시에서였다. 이 날 오후제네바 국제연맹본부에서 국제회의 개막식이 있었기 때문에 호텔 식당은 초만원을 이루었다. 식당에 늦게 들어선 이승만이 파니와 그의 어머니가 미리 자리잡은 식탁에 동석하면서 운명의 상봉이 이루어진 것이다.
    두 사람의 대화는 파니쪽에서 시작되었다. 묵묵히 식사하는「노신사」가 한국인이라는 것을 확인한 파니는 금강산과 양반 등 한국에 관한 자신의 지식을 털어놓아 이승만의 관심을 끌었다.
    그러나 이승만이 첫눈에 파니에게 반한 것은 아니었다. 2월21일자「이승만 일기」에는 그날 함께 점심을 들고 국제회의를 참관한 두 미국여인(로잔 대학에 유학하는 메리암 양과 브라운 여사)의 이름이 나타날 뿐 파니 모녀에 대한 언급은 없다. 이승만 일기에 프란체스카 도너양의 기록이 나타나는 것은 이보다 훨씬 뒤인 5월9일부터였다. 일기에서 이승만은 그녀의 도움으로 베를린의 독일은행으로부터 남에게 빌려준 돈을 돌려받았다고 기록하였다. 이승만과 파니 사이에 결혼에 대한 진지한 대화가 오간 것은 이승만이 외교목적으로 모스크바를 방문하기 위해 7월초 빈에 들렀을 때였다.7월7일 빈에 도착한 이승만은 편지로 파니에게 연락하여 이틀 후 만났다.
    이 날 저녁 두사람은「헬메스 별장」에 다녀왔다. 두사람이 서로의 사랑을 고백하고 결혼을 약속한 것은 아마도 이 데이트에서였던 것 같다. 7월15일 이승만이 빈 외교를 마치고 모스크바로 향해 출발할 때 파니는 기차역까지 마중나와 이승만의 짐을 객실에 실어준 다음 기차가 멀리 떠나갈 때까지 손을 흔들어 전송하였다.
    이승만은 이 때의 만남을「빈 연사(戀事)」라고 일기에 적었다.
    모스크바 외교행각에서 실패하고 미국으로 돌아갈 때 이승만은 또 한번 빈에 들러 하루 머물면서 파니를 만난 것 같다. 그 후 미국에 귀착한 그는 34년 정초부터 워싱턴에서 파니의 입국수속을 시작했다. 그러나 빈 주재 미국영사관에서는 동양인과 결혼하기 위해 미국으로 가겠다는 파니에게 쉽사리 비자를 내주지 않았다. 결국 이승만은 7월22일 美국무부의 정치고문 혼벡박사를 찾아가 협조를 요청한 끝에 드디어 9월26일 파니에게 비자가 발급되었다.

    이승만과 파니의 결혼식은 파니가 뉴욕에 도착한지 나흘만인 10월8일 뉴욕 렉싱턴街에 있는 「호텔 몽클레어」의 특별홀에서 치러졌다. 왜 결혼식이 이 호텔에서 열렸느냐 하면 이승만의 프린스턴大 동창생인 킴벌랜드 대령부처가 당시 이 호텔에 장기투숙하고 있었고 그들이 두사람의 결혼식을 돕겠다고 나섰기 때문이었다. 결혼식은 한국인 윤병구(尹炳求)목사와 미국인 홈스목사가 공동으로 집전했다.
    결혼 당시 이승만은 별세한 파니의 아버지와 동갑인 만 59세였고 파니는 34세였다. 이 두사람의 국제결혼은 결과적으로 대성공이었다. 비교적 젊은 나이에 사무처리능력이 탁월했던 파니는 노년기에 접어든 망명정치가에게 필수불가결의 동지(同 志)요 반려(伴侶)가 되었다. 그러나 한인교포들은 대체로 이승만의 국제결혼을 못마땅하게 생각했다. 이승만을 아끼는 하와이 동지회 간부들은 결혼소식에 접하자 두번(10월23일과 25일)이나 전보를 쳐 하와이에 오려거든 먼저 혼자 건너와서 국제결혼을 하게된 경위를 밝히라고 했다.
    그러나 마냥 행복하기만 했던 이승만 부처는 이러한 전보를 아랑곳하지 않은채 유유히 美대륙을 자동차로 여행한 다음 1935년1월24일 호놀룰루港에 도착했다. 이어 베풀어진 환영회에는 뜻밖에도 1천7백여명의 교포 하객이 몰려 대성황을 이루었다.

     


    [출처: 중앙일보] <이승만과대한민국탄생>22.프란체스카와 결혼 


  23. 23. 임정승인 외교

    내용
    이승만(李承晩)박사에게는 멀리 앞을 내다보는 남다른 통찰력이있었다. 아니 적어도 李박사 자신이 예언자적 선견지명(先見之明)을 가졌다고 자부했다.
    1930년대 후반에 이르러 中日전쟁(1937)이 터지고 유럽에서 제2차 세계대전이 발발 (1939)하자 李박사는 미국과 일본간의 충돌이 임박했다고 느끼고 1939년 3월말- 마치 지진 발생을 예감한 곤충류가 진원지(震源地)에서 달아나듯- 하와이를 떠나 미국 수도 워싱턴 D.C.로 향했다.
    워싱턴에 도착한 이승만 부처는 워싱턴 국립동물원 근처 호바트街의 작은 2층 가옥에 입주했다. 여기서 그는 밤마다 울리는 동물들의 처절한 포효(咆哮)를 들으며 회심의 대작(大作)『일본 내막기(Japan Inside Out)』저술에 몰두했다. 이 책에서 이승만은 아시아를 석권한 제국주의 일본이 세계제패의 꿈을 달성하기 위해 불원간 미국에 도전할 것을 예고하고 미국이 당장 힘으로써 일본을 제재하지 않을 경우 美日간 대전쟁이불가피하다고 주장했다. 1941년초 이 책이 뉴욕의 유명한 출판사(프래밍 H 레벨社)를 통해 간행됨으로써 이승만은 일약 미국 지성계가 주목하는 인물이 되었다. 드디어 1941년 12월8일 진주만 사건을 계기로 이승만이 예고했던 태평양전쟁이 터지자 그의 책은 불티나게 팔렸고 그는 워싱턴 일각에서 예언자라는 평을 받기도 했다.
    『일본 내막기』를 탈고한 후 이승만은 미국 정부로부터 중칭(重慶)에 있는 대한민국 임시정부의 승인을 획득하는 작업에 착수했다. 이를 위해 그는 오랫동안 문닫았던 워싱턴의 한국위원부(Korean Commission:일명 駐美外交委員部) 사무실을 다시 열었다. 그리고 1941년 4월에 새로 발족된 재미(在美)한족연합위원회와 접촉해 이 단체의 외교위원장직을 맡음과 동시에 김구(金九)주석이 이끄는 임정으로부터 주미외교위원부위원장직을 임명받았다. 즉 그는 임정과 재미교포단체 를 대표하는 외교위원장자격으로 워싱턴 정부 요로에 접근했다.
    이승만이 노린 외교목표는 미국등 연합국으로부터 임정의 승인을 획득함으로써 한국이 연합국의 일원으로 대일(對日)전쟁에 적극 참가하며 나아가 전후(戰後)국제회의에서 발언권을 확보하는 것이었다. 이승만은 이러한 소망을 담은 임정 문서를 진주만 사건 발발전에 美대통령 프랭클린 루스벨트에게 전달했다. 진주만 사건 직후 그는 국무부를 방문해 국무부 극동국장 혼벡박사등 요인을 만나 임정 승인을 촉구했다. 그들의 반응이 냉담하자 이승만은 헐국무장관과 루스벨트 대통령에게 직접 편지를 띄워 임정 승인을 요청했다. 루스벨트의 부인 엘리너 루스벨트 여사도 만나 측면 지원을부탁했다.
    루스벨트대통령이 퀘벡에서 영국수상 처칠과 회담할 때(1943.8.23)와 트루먼 대통령이 포츠담에서 연합국 원수들과 회담할 때(1945.7.21) 이들 대통령에게 전보로 임정 승인문제를 해결해달라고 조를 정도로 그는 극성을 부렸다 .
    이승만은 임정 승인 획득 캠페인의 일환으로 1942년초 한국독립에 깊은 관심을 가진 미국의 저명인사들-예컨대 駐캐나다 대사를 역임한 크롬웰, 워싱턴의 변호사 스태거스,INS통신사 기자윌리엄스, 시러큐스대학 교수 올리버박사등-을 포섭,규합해 韓美협의회(Korean-American Council.회장 크롬웰)라는 후원단체를 조직하고 이 단체의 명의로 美정부에 압력을 가했다.韓美협의회는 1942년초 3.1절을 앞두고 재미한족연합위원회와 공동으로 백악관 근처 라파 예트호텔에서 「한인자유대회」(Korean Liberty Conference)를 개최했다. 2백여명의 韓美 인사들이 모인 이 대회에서 美 하원의원 커피등은 임정의 즉각 승인을 강조하는 연설을 했으며 회의 진행상황이 워싱턴의 WINX 방송망을 통해 실황중계됨으로써 상당한 홍보효과를 거두었다.
    이러한 이승만의 노력에도 불구하고 미국정부는 끝내 임정을 승인하지 않았다. 한국문제를 소련.중국 등 관계열강과 협의해 처리하려고 작정한 美정부는 임정승인 요구에 처음부터 거부반응을 보였다.뿐만 아니라 중국의 국민당측에서 임정승인 움직임을 보이자 이에도 제동을 걸었다. 결과적으로 이승만의 임정승인 획득노력은 목표달성에 실패한 셈이다. 그러나 이승만의 대미외교가 완전히 무위(無爲)로 끝났다고 말할 수는 없다. 장기간에 걸친 그의 끈질긴 외교와 홍보 노력은 1943년 11월 카이로에 모인 美.英.中 원수들로 하여금 「적당한 시기에」한국을 독립시켜 준다는「카이로 선언」을 채택하는데 근원적으로 기여했다고 볼 수 있기 때문이다.
    태평양전쟁중에 이승만은 이 외에도 몇가지 돋보이는 일을 추진했다. 그는 美 육군전략처(OSS)와 협력해 한국인 청년 20여명을 OSS특공대의 요원으로 선발해 특수훈련을 받게한 다음 그들을 대일전쟁에 참여시켰다.
    그는 美 법무장관과 육군장관을 설득해 전쟁중 美정부가 한국교포들을 일본인과 구별해 「우호적 외국인」으로 취급하도록 조처했다. 이승만은 미국 체신부로 하여금 1944년 11월 태극기 마크가 그려진 우표를 발행케 했다. 그리고 그는 19 42년 6월 몇주간에 걸쳐 「미국의 소리」(VOA)초단파 방송망을 통해 고국 동포들에게 일본의 패망을 예고하는 육성(肉聲)방송을 함으로써 일제하에 신음하는 동포들에게 희망과 용기를 심어주었다. 

    [출처: 중앙일보] <이승만과대한민국탄생>23.임정승인 외교


  24. 24. 韓吉洙주도 반대세력

    내용

    망명기간 이승만(李承晩)박사에게는 추종자도 많았지만 배척자도 많았다. 왕족(王族)이라는 신분배경,고매한 학식,그리고 능란한 외교술 등 李박사의「장점」을 높이 사는 사람들은 그를 불세출(不世出)의 위인으로 숭앙하면서 물심양면으로 기꺼이 도왔다. 1921년 하와이에서 조직된 대한인동지회(大韓人同志會)는 바로 이러한 親李박사계 인사들의 후원조직이었다. 다른 한편 李박사의 유아독존적 행동양식과 외교독립노선에 거부감을 느끼고 그를 백안시하는 세력이 있었다.
    1910년대에 결성된 안창호(安昌浩)의 대한인국민회(大韓人國民會)와 박용만(朴容萬)의 대조선독립단(大朝鮮獨立團)등은 바로 이러한 反李박사 세력이었다. 1920년대초 구미위원부 위원장으로서 워싱턴에서 李박사와 함께 일했던 김규식(金奎植)도 미국을 떠난 후 중국에서 李박사 비판세력에 합류했다.
    1930년대 말에 접어들어 일제(日帝)의 패망이 가시화되자 미주에서의 독립운동은 아연 활기를 띠었으며, 독립운동가들 간에는 「노쇠」한 이승만에게 반기를 드는 새 라이벌들이 대두했다. 1941년4월에 발족된 재미한인연합위원회(在美韓人聯合委 員會)의 김호(金乎).김원용(金源容).한시대(韓始大)등은 대한인국민회 계통의 실력자들로서 이승만의 「독주」에 제동을 거는데 힘을 모았다. 그들은 오랫동안 이승만이 독단으로 운영해온 한국위원부의 참여폭 확대 내지 개조를 요구했다. 이 요구가 관철되지 못하자 그들은 1944년 워싱턴에 별도의 사무소를 설치하고 독자적인 임정 승인획득운동을 펼쳤다.
    이승만에게는 재미한족연합위원회의 지도부보다 더 무서운 라이벌이 있었으니 그 이름은 한길수(韓吉洙). 이승만보다 25년 연하(年下)인 한길수는 장단출신으로 여섯살때(1905) 하와이로 이민가 사탕수수 농장에서 자랐으며, 샌프란시스코에 있는 구세군사관학교를 졸업했다. 하와이로 돌아간 그는 부동산중개업에 종사하다가 위증혐의로 면허취소를 당한 후 한 때 駐호놀룰루 일본총영사관에서 근무했다. 그는 1937년 하와이를 방문한 美의회 의원단에게 일본인의 군사비밀을 폭로함으로써 상원의원 질레트의 신임을 얻었다. 한길수는 김규식이 1933년 미국을 방문했을 때 부식(扶植)한 중한민중동맹단(中韓民衆同盟團)이라는 대일(對日)방첩(防諜)단체의 미주대표중 한 명이었다. 1938년말에 워싱턴DC로 거처를 옮긴 그는 중한민중동맹단 1937년 한커우(漢口)에서 조직과 조선민족전선연맹(朝鮮民族戰線聯盟)의 워싱턴 대표자로 행세했다. 한마디로 그는 1942년 이후 중칭(重慶)임정내에서 야당(野黨)을 형성하는 김원봉(金元鳳)과 김규식에 연계된 미주내 이승만 타도운동의 선봉이었다.
    일본 정보통(情報通)으로 인정받은 한길수는 미국 국무부. 해군부를 드나들면서 이승만 격하에 열을 올렸다.「고집불통 노인」이승만이 표방하는 무저항주의적 외교독립노선과 반소(反蘇).반공(反共)주의가 비현실적.비효과적인 항일독립전략이라는 것이 그의 주장이었다.
    그의 이러한 논리는 광복 후 좌우합작(左右合作)과 연립정권 수립을 지향한 것이었다. 한길수의 입장은 전후(戰後)한국문제 처리에 있어 소련과의 협조가 필수라고 보는 美국무부의 용공(容共)적인 고문 히스의 대한(對韓)정책 구상과 맞아 떨어졌기 때문에 美정부의 호감을 샀다.
    워싱턴을 무대로 빚어진 이승만 지지세력 對 비판세력간의 파쟁은 급기야 미국 및 중국정부 지도자들에게 한국독립운동가들은 분열을 일삼는다는 인상을 심어주었다. 이러한 부정적 선입감은 이승만이 추진하던 임정 승인 획득운동에 찬물을 끼얹는 효과를 초래했을 뿐만 아니라 1945년4월25일 샌프란시스코에서 개최된 유엔창립총회에 한국대표단의 참석을 불가능하게 만들었다.
    이승만과 한시대가 이끄는 두개의 한국대표단이 샌프란시스코에 도착, 회의 참석권을 얻으려고 서로 겨루던 끝에 간신히 단일(單一)팀을 구성하는데까지는 성공했으나 공교롭게도 이 총회의 사무총장직을 맡게된 히스는 한국대표단의 「내분」을 환히 알고 있던 터라 한국인이 제출한 서류의 접수조차 거부했던 것이다.
    이승만은 자신의 라이벌들의 도전에 어떻게 대응했는가.그는 한길수.김원봉.김규식 등을 모두 공산주의자로 간주했다. 그 중에서도 특히 한길수는 미국 내 한국 「빨갱이」의 두목이오 왜놈의 「사냥개」「이중간첩」이라고 지목,경계했다. 그는 한길수가 美정부 요인들에게 한국인의 「내분」을 너무 크게 부각시킴으로써 결과적으로 임정 승인을 방해했다고 분격해했다. 나아가 그는 미국정부가 소련과의 협조를 우선시한 나머지 한국인에게 무분별한 좌우합작을 강요하는 경우 전후 한국에는 폴란드의 루블린정권과 비슷한 소련 괴뢰정권이 탄생할 것이며, 이어서 민족주의자와 공산주의자 간에내전(內戰)이 터질 것이라고 경고했다. 태평양전쟁이 끝난 후 9월 초 어느날 이승만은 가장 절친한 미국친구 올리버에게 자기는 앞으로 좌우합작으로 이루어지는 연립정부에 참여, 집권할 생각이 없다고 잘라 말하고 천하대세(天下大勢)가 여의치 않으면 차라리시골에 은퇴해 「닭이나 치겠다」고 토로했다.



    [출처: 중앙일보] <이승만과대한민국탄생>24.韓吉洙주도 반대세력


  25. 25. 건국대업의 성취

    내용

    이승만(李承晩)박사는 광복 두 달만인 1945년10월16일 몽매에도 잊지못한 조국에 돌아왔다. 이 때 그의 나이는 만70세.
    역사의 신(神)은 평생을 독립운동에 헌신한 백발의 정치가에게 회심의 꿈을 실현할 마지막 찬스를 허여했다. 천재일우(千載一遇)의 이 기회를 놓칠세라 李박사는 혼신의 힘을 기울인 끝에 3년후 드디어 대한민국 건국의 대업을 성취했다 .李박사의 꿈은 어떤 것이었으며,그는 이 꿈을 어떻게 실현했는가.

    33년만에 고국에 돌아온 이승만은 이 땅에 개인의 자유.평등이 최대한 보장되는 자유민주주의 국가를 건설하려는 꿈을 간직하고 있었다. 그는 과거 1천여년간 중국식 군주제(君主制)전통을 이어온 이 나라에 미국식 민주공화제 정부를 수립하려 했다.한때 기독교 전도와 교육사업에 전념했던 그의 마음 한구석에는 한국을 모범적 기독교 국가로 만들려는 미련이 남아 있었다.
    이승만은 공산주의의 평등사상에는 공명했다.그러나 그는 공산주의자들이 민족보다 이데올로기를 앞세운 나머지 조국을 소련의 속국으로 만드는 작업에 종사한다고 판단,그들을 적대시했다. 좌우합작은 이론상 그럴듯 하지만-동유럽과 중국의 선례 에서 증명되었듯이-필경 공산당에만 이로울 뿐이라고 믿고 이 노선을 따르는 이상주의자들을 경원했다. 한마디로 이승만은 민족주의와 자유민주주의를 벗어난 다른 어떤 정치노선과도 타협하기를 거부했다.
    즉각 독립을 추구하는 이승만의 앞길에는 넘어야할 장애물이 많았다. 그는 한반도를 5년간 신탁통치하기로 작정한 美.蘇.英 등 강대국의 협정을 무효화시켜야만 했다. 그는 또 좌우합작을 통해 연립정부를 세우려는 미군정(美軍政)의 하지 중장 과 여운형(呂運亨).김규식(金奎植)등「중간파」의 계획을 좌절시켜야만 했다.
    무엇보다도 그는 38선 이북에 진주한 소련군과 연계,남한의 공산화를 서두르던 박헌영(朴憲永)등의 남로당(南勞黨)과 승부를 겨뤄야만 했다.
    서울에 도착한 이승만에게 초미지급(焦眉之急)은 국내에 정치기반을 구축하는 일이었다. 먼저 그는 자기의 입장을 밀어줄 범국민적 운동본부로 「독립촉성중앙협의회(獨立促成中央協議會)」를 발족시켰다. 다음으로 그는 미군정 자문기관인 「남조선대 한민국대표민주의원(民主議院)」의 의장직을 맡으면서 정권인수 준비를 했다.
    이 무렵 그는 김성수(金性洙)로 대표되는 국내 보수세력의 도움을 받으면서 11월23일 환국한 김구(金九)등 임정세력과 제휴했다.그는 만만치 않은 공산당세력과 대 결하기 위해 전국학련.서북청년회.대한노총 등 각종 우익단체들을 포섭,동원했다.
    이승만은 해방전부터 소련의 대한(對韓)야욕에 경종을 울려왔다. 1946년 봄 美蘇공동위원회(제1차)가 유산되자 그는 美蘇 합의에 의한 통일정부 수립이 전연 불가능하다고 단정, 6월 초부터 남한만의 단독정부 수립론을 제창했다. 자신의 주장을 美정부에 관철시키기 위해 그는 1946년 12월 미국으로 건너갔다. 그가 워싱턴에 5개월간 머무르는 동안 천우신조(天佑神助)일까 美정부의 대한 정책은 그의 반공노선과 부합하는 방향으로 선회하고 있었다. 냉전을 의식한 美정부는 1947년 3월 「트루먼 독트린」을 발포하면서 대소(對蘇)봉쇄정책을 표방했던 것이다. 이 정책변화에 뒤따라 이승만은 드디어 美정부가 선호하는 한국지도자로 각광받게 되었다.
    이승만과 미국은 신생 공화국을 출범시킴에 있어 유엔의 권위를 이용하기로 했다. 1947년 9월 미국이 신탁통치안을 포기하고 한국문제를 유엔에 이관하자 이승만은 임병직(林炳稷)과 임영신(任永信)을 유엔에 급파,로비 활동을 전개시켰다.
    미국대표와 이들의 노력이 주효하여 1947년 11월4일 유엔총회는「유엔한국임시위원단」의 감시 아래 남북한 총선거를 실시, 독립국가를 세우자는 미국의 결의안을 43-0으로 가결시켰다. 그 후1948년2월 유엔「소총회」는 「유엔한국임시위원 단」의 접근가능 지역(즉 남한)만에서의 총선거 실시안을 가결했다. 이로써 유엔은 이승만이 주창한 남한 단정수립안을 승인한 셈이다.
    새나라 건설을 위한 총선거가 1948년 5월10일 실시되었다. 서울 동대문구에서 출마, 무투표로 당선된 이승만은 5월31일 개원된 제헌국회에서 의장으로 선출되었다. 국회의장 이승만은 헌법제정작업 총책임을 맡았다. 국회는 이승만의 주장을 수용해 7월17일 대통령중심제 헌법을 채택,공포했다. 이승만은 7월20일 국회에서 실시된 정.부통령 선거에서 대통령으로 당선되었다. 李대통령은 해방 3주년을 맞는 1948년 8월15일을 택해 대한민국탄생을 세계만방에 선포했다.
    이승만은 필생 염원했던 독립국가 수립의 꿈을 아쉽게도 한반도남쪽에서만 실현했다. 그렇지만 그는 지난(至難)한 건국과업을 촌철(寸鐵)도 없이 필설(筆舌)의 힘만으로 성취함으로써 희세(稀世)의 위재(偉材)를 과시했다.


    [출처: 중앙일보] <이승만과대한민국탄생>25.끝 건국대업의 성취


게시물 검색

copyrightⓒ Miracle of Korea All rights reserved